솔라나 네트워크 전용 유동성 관문 구축
MON 토큰 부터 첫 적용
웜홀 랩스가 솔라나 생태계로 외부 자산을 유입시키는 전용 게이트웨이 ‘선라이즈(Sunrise)’를 공개했다고 24일 더블록이 보도했다. 선라이즈는 신규 토큰이 솔라나에 유입될 때 초기에 분산되는 유동성을 한곳으로 모으는 구조를 취해, 솔라나 디파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단일 온보딩 창구로 설계됐다.
선라이즈는 내일 거래를 시작할 예정인 모나드 체인의 토큰 MON을 지원하며 이를 첫 적용 사례로 삼는다. 원래 체인에서 솔라나 네트워크로 토큰을 이동한 뒤 바로 솔라나 디파이 시장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계됐으며, 솔라나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DEX)인 주피터와 헬리우스가 지원하는 블록 탐색기 오브에서도 초기부터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성됐다.
솔라나 재단의 쿨린 님카르는 “솔라나가 인터넷 자본 시장 비전을 추구하는 만큼, 솔라나에서 발행되지 않은 자산도 거래자가 불편 없이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선라이즈는 이 같은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연결고리”라고 말했다.
체인 간 유동성 이동을 둘러싼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지난해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모나드는 대표적인 신규 레이어1 프로젝트로 주목받아 왔다. 웜홀 랩스는 MON 유입 경로를 선라이즈로 표준화함으로써 솔라나 시장 구조 내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기조를 내세웠다.
솔라나 거래량이 최근 이더리움을 추월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외부 자산 브리지는 복잡한 절차와 토큰 단편화를 초래해 왔다. 선라이즈는 웜홀의 NTT 인프라를 기반으로 전통적인 래핑·풀 방식 브리지가 겪어온 유동성·보안 부담을 덜고, TGE 시점부터 유동성이 확보된 상태로 솔라나에 진입하도록 설계됐다.
웜홀 랩스의 사이드 바드레그는 “선라이즈는 어떤 체인에서든 발행된 자산이 TGE부터 솔라나에서 유동성을 확보하도록 지원한다”며 MON을 시작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내에는 향후 MON뿐 아니라 기관용 체인에서 발행되는 토큰화 상품, 주식, 실물자산 기반 토큰까지 지원 범위를 넓힐 계획도 포함돼 있다.
웜홀은 이번 사이클 초반 W 토큰 출시와 에어드랍 이후 토크노믹스 전환을 진행해 왔으며, 모나드 흐름을 확보한 선라이즈를 앞세워 범용 브리지보다 사용자 친화적이고 특화된 온보딩 기능을 경쟁력으로 삼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