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앙은행, 10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하

MLF 금리 2.75%→2.65%…코로나19 이후 회복 둔화에 대응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주요 중기 대출금리를 10개월 만에 인하하며 경기 부양에 나섰다.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세가 점차 둔화되는 상황 속에서, 중국은 다시 한번 통화정책 완화를 통해 유동성 확대와 신용 공급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인민은행은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2.75%에서 2.65%로 0.10%포인트 인하했다. 이는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으로 금리 인하가 단행된 것이다.

MLF는 인민은행이 시중은행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주요 수단으로, 사실상 중국의 기준금리 역할을 한다. 이번 조치는 경기 회복 속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앞서 인민은행은 이번 주 초 7일 만기 역환매조건부채권(Repo) 금리도 2.0%에서 1.9%로 인하하며, 20억 위안을 시장에 공급했다. 여기에 더해 지난주 중국의 주요 국영 상업은행들이 예금 금리를 인하하면서, 6월 20일 예정된 대출우대금리(LPR) 인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금리 인하 발표 직후 외환시장에서는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가 0.2% 하락해 달러당 7.1744위안을 기록하며 지난해 11월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반면 주식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심천 종합지수는 0.3% 상승했고, 홍콩 항셍지수는 1.3%, 항셍 테크지수는 2% 이상 올랐다.

투자운용사 크레인쉐어스의 최고투자책임자 브렌던 아헌은 “중앙은행의 금리 조정은 경제를 지원하려는 정책 당국의 의지를 나타낸다”며 “이는 코로나19 이후 매우 완만한 회복 속도를 정책 당국도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6월 20일 발표될 LPR 인하 가능성도 높다”고 전망하며, “이번 MLF 인하는 시작일 뿐이고, 향후에도 점진적인 금리 인하 기조가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LPR은 9개월째 동결 상태이며, 실제 대출 금리에 영향을 주는 기준금리로 간주된다. 시장은 인민은행이 앞으로도 추가적인 경기 부양 조치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중국, CNH 스테이블코인 발행 검토…국제 통화 주도권 경쟁

中 국영 금융기관, 스테이블코인 분석 보고서 발표

중국 매체, 위안화 국제화 위해 ‘스테이블코인’ 대응 필요성 제기

중국 인민은행 총재 “블록체인, 결제 시스템을 완전히 바꾸고 있다”

7/2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554억원 순유입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美 SEC, 암호화폐 ETF 상장 간소화 방안 검토

로빈후드, 아비트럼에 오픈AI 주식 기반 토큰 2300여개 발행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비트코인

상장사, 상반기 비트코인 24만5510개 매입…ETF의 두 배

코인 이미지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 중심, 수익 실현 증가…변동성은 제한적

제롬 파월

파월 “금리 인하 신중해야…관세가 정책 제약 요인”

인기뉴스

1

바이낸스 알파, 벅스코인(BGSC) 에어드랍·트레이딩 이벤트 진행

바이낸스 알파
2

트럼프, 머스크와 갈등 재점화 “추방 검토할 수도”

트럼프 / 일론머스크
3

트럼프, 머스크 정조준…”보조금 없었으면 사업 접었을 것”

4

美 SEC, 비트와이즈 이더리움 ETF 스테이킹 기능 심사 연기

이더리움
5

무브먼트, 바이낸스서 4500만 MOVE 코인 회수

무브먼트랩스(Movement La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