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말레이시아 무역협상 ‘건설적’ 평가…정상회담 앞두고 예비합의 언급

말레이 무역협상 진전

월스트리트저널 26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양측이 건설적 논의를 진행했다고 평가했다.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목요일 정상 간 논의를 위한 매우 성공적인 틀을 마련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중국 상무부 부부장 리청강은 별도 브리핑에서 “양측이 핵심 사안의 가능한 해법에 대해 예비합의를 이뤘다”고 밝혔다.

베슨트와 리청강에 따르면 협상은 수출통제, 상호 관세 인하 유예 연장, 펜타닐 불법거래 대응 협력, 농산물 구매, 자동차·전투기 제조에 필요한 희토류 접근, 틱톡, 미·중 관계 전반을 다뤘다. 리청강은 “미국은 입장을 강하게 전달했고, 중국은 자국의 이익과 권리를 확고히 지켰다”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협상은 양국 간 긴장을 낮추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이번 주 회담을 위한 논의 기반을 다지는 목적이었다. 관세 인하를 골자로 한 무역 휴전이 11월 10일 만료되는 사안과 관련해 베슨트는 “이번 회의 결과만 보면 ‘그렇다’고 말하겠지만 최종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렸다”고 말했다. 리청강은 양측이 예비합의 이행을 위한 내부 승인 절차에 착수한다고 했으나 구체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요일 동남아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쿠알라룸푸르에 도착했으며, 일본과 한국을 잇는 순방 중 시진핑 주석과의 회담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에어포스원에서 “완전한 합의를 원한다”며 “매우 포괄적인 합의를 이룰 좋은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재개, 펜타닐 제조에 쓰이는 화학물질을 수출하는 중국 기업 단속, 희토류 통제 완화를 요구해왔다. 중국은 올해 미국산 대두 구매를 줄였고, 미국 농가가 직격탄을 맞았다.

다만, 여전히 불확실한 사안으로는 미국이 11월 1일 중국산 상품에 새 100% 관세를 부과할지 여부와 대중 첨단기술 수출 통제를 완화할지 여부다. 양국은 올해 초 상호 관세율을 100% 이상으로 끌어올린 뒤 5월에 관세를 단계적으로 되돌리는 잠정 휴전에 합의했다.

지난 몇 주 동안 양측은 상대방을 무역 긴장의 당사자로 지목했다. 9월 말 미국은 중국 기술기업을 겨냥해 거래 규제 리스트를 확대했고, 중국은 이달 희토류 통제를 강화했다. 중국의 희토류 정책은 워싱턴을 자극했으며, 올해 도입된 희토류 수출통제로 미국 자동차 업체 등에서 생산 차질이 발생했다. 미 행정부는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늘려야 미국이 관세를 낮출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중국은 미국 항구에 기항하는 중국 선박에 대한 미국 측 비용 부과에 대응해 중국에 입항하는 미국 선박에 특별 비용을 부과하고 한국 조선사의 미국 자회사들을 제재한 바 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美 상무부, 양자컴퓨팅 기업 지분 투자 협상

미국, 러시아 석유기업 제재 발표…국제유가 상승

美 가상자산 업계 리더들 의회서 시장 구조 법안 논의

미중 무역 긴장 지속 기술주 하락…나스닥 0.9%↓

미·중, 말레이시아 무역협상 ‘건설적’ 평가…정상회담 앞두고 예비합의 언급

바이낸스, 기글 펀드(GIGGLE)·신퓨처스(F) 코인 현물마켓 상장 예정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10/25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1297억원 순유입

인기뉴스

1

미·중, 말레이시아 무역협상 ‘건설적’ 평가…정상회담 앞두고 예비합의 언급

미국 관세
2

바이낸스, 기글 펀드(GIGGLE)·신퓨처스(F) 코인 현물마켓 상장 예정

바이낸스
3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4

10/25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1297억원 순유입

비트코인 현물 ETF
5

10/25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1342억원 순유출

이더리움 ETF
6

테더, 올해 $150억 수익 전망…12월 미국서 스테이블코인 ‘USAT’ 출시

테더
7

아스터, 시즌3 수수료 70~80%로 ASTER 코인 바이백 추진

아스터(ASTER)
미국 관세
비트코인 현물 ETF
이더리움 E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