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투자은행 제프리스 “디지털자산 ‘성장 단계’…기관 유입 확대, 토큰화·IPO 부상”

“기관 유입 가속”
“토큰화와 IPO, 장기 동력”
“선택과 집중 필요”

21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 제프리스는 9월 디지털자산 업종을 추적해 정기 보고서를 내기 시작했다. 제프리스는 기관 고객 Q&A 보고서에서 “지금 투자하기에 늦었나”라는 질문에 인터넷과 비교하면 디지털자산 생태계는 1996년과 유사하다고 평가하며 다음 성장 단계가 막 시작됐음을 암시했다.

제프리스는 인터넷 대중화 초입을 비유로 들며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와 인터넷 익스플로러 경쟁, 아마존 IPO 직전 단계, 구글 출범 전 시점을 상기시켰다.

앤드루 모스가 이끌고 있는 리서치 팀은 근거로 전통 펀드의 노출이 아직 제한적이지만 확대 흐름이 뚜렷하다고 했고 “많은 기관이 토큰·ETF·디지털자산 트레저리(DAT)·가상자산 투자 노출 상장사 간 자금 배분 전략을 수립 중”이라고 적었다.

애널리스트들은 “BTC에만 치우치면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을 놓칠 것”이라고 했으며, 투자 노출 수단으로 언급한 ETF는 기관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고 DAT는 모금헌 투자금으로 토큰을 상시 매수해 수요를 키울 수 있다고 봤다.

장기 동력으로 토큰화와 IPO를 제시했다. 금융기관의 자산 토큰화가 24시간 거래와 실시간 결제를 촉진해 네트워크 활동 전환, 거래량 증가, 토큰 보유자 가치 제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고, IPO 흐름과 관련해 서클과 불리시(코인데스크 모회사), 제미니가 상장을 추진 중이라고 언급했다.

제프리스는 “향후 18~24개월 10~15건의 IPO”와 “5년 내 1조달러(약 1400조원) 규모 상장 시장”을 예상했다. 상장 기회는 △분산원장 개발사 △토큰화 플랫폼 △커스터디 △토큰 온·오프램프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데이터 분석사 △기관용 트레이딩·스테이킹 플랫폼 △자산운용사 △프라임 브로커에 걸쳐 있다고 봤다.

투자 접근법으로 선택과 집중을 주장했다. 2018년 1월 상위 20개 토큰 중 6개만 상위권을 유지했다고 지적하고, 투기성 자산에서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토큰으로 자본 이동이 계속될 것이라며 토큰을 초기 기술 스타트업처럼 평가해 채택·개발·사용·용례를 우선해야한다고 평가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솔로텍스, 미국 개인투자자 대상 주식 토큰화 거래 플랫폼 연내 출시

블랙록 CEO 래리 핑크 “토큰화로 시장서 더 큰 역할 하게 될 것”

BNY멜론, 블록체인 결제용 ‘토큰화 예금’ 검토

중국, 홍콩 내 실물자산 토큰화 사업 중단 권고

WSJ “미 대법, 트럼프의 관세 정책 권한에 의문 제기”

레드스톤, 하이퍼리퀴드 ‘HIP-3’용 오라클 ‘하이퍼스톤’ 공개

위즈덤트리, 체인링크 데이터링크로 이더리움 기반 토큰화 펀드 시세 제공

미 정부 셧다운 사상 최장 36일째…가상자산 시장구조법안 처리 지연 불가피

인기뉴스

1

업비트, 인튜이션(TRUST) 코인 퀴즈 이벤트 진행

업비트
2

빗썸, 인튜이션(TRUST) 코인 원화마켓 상장 예정

빗썸
3

블룸버그 “톰 리, 대규모 이더리움 투자 손실…기업 매수 흐름 흔들”

펀드스트랫 캐피털 공동 창업자 톰 리
4

업비트, 인튜이션(TRUST)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업비트
5

카이아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결제망 확대” 강조

카이아(KAIA)
6

OKX, 인투이션(TRUST) 코인 무기한 선물 상장

OKX 거래소
7

코인 선물시장, 하루 동안 2.9조원 규모 포지션 청산

미국 증시 / 프리픽
리플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더리움 E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