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은·국제결제은행, 스마트계약 기반 토큰화 통화정책 실험

국제결제은행 BIS
국제결제은행 BIS

중앙은행 디지털 운용 툴킷 시제품 개발
스마트계약으로 유동성 조절 실험

지난 14일(현지시간) 뉴욕연방준비은행과 국제결제은행(BIS)이 토큰화된 금융시장 환경에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수행 가능성을 실험한 공동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양 기관은 ‘파인 프로젝트’를 통해 스마트계약 기반 통화정책 툴킷 시제품을 개발하고, 금리 조정·양적완화·시장불안 등 10개 가상 시나리오에서 정책 수행을 테스트했다. 실험 결과 각 조건에 맞춰 즉각적인 유동성 조절이 가능했다.

툴킷은 준비금 이자 지급, 공개시장조작, 담보관리 등 기능을 포함하며, 다양한 통화정책 체계에 맞게 수정 가능한 형태로 설계됐다. BIS는 향후 상호운용성·데이터 표준화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스마트계약

스마트계약은 사전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디지털 계약을 의미한다. 블록체인 기반 기술로, 중개자 없이 신뢰성 있는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은 1990년대 중반 미국의 암호학자 닉 자보(Nick Szabo)가 처음 개념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개념은 당시에는 실현 가능한 인프라가 부족해 널리 사용되지 못했지만, 이더리움이 2015년 스마트계약 기능을 포함해 출시되면서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더리움은 탈중앙화된 플랫폼에서 누구나 스마트계약을 작성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스마트계약이 실제 금융, 게임, 부동산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기반이 되고 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美 상원 통과…가상자산 과세 혜택은 빠져

루미스 美 상원의원, 암호화폐 소액 거래 과세 면제 추진

미국, 지니어스·클래리티 법안으로 가상자산 규제 전환점 맞이하나

러시아, 내년 9월 ‘디지털 루블’ 도입

상장사, 상반기 비트코인 24만5510개 매입…ETF의 두 배

7/2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4655억원 순유출

맨틀, 아시아서 ‘온체인 네오뱅크’ 7월말 출시 예정

美 애리조나 주지사, 범죄 몰수 비트코인 비축 법안 거부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비트코인

상장사, 상반기 비트코인 24만5510개 매입…ETF의 두 배

코인 이미지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 중심, 수익 실현 증가…변동성은 제한적

제롬 파월

파월 “금리 인하 신중해야…관세가 정책 제약 요인”

미국 공화당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美 상원 통과…가상자산 과세 혜택은 빠져

인기뉴스

1

바이낸스 알파, 벅스코인(BGSC) 에어드랍·트레이딩 이벤트 진행

바이낸스 알파
2

7월 코인 · 거시경제 일정

이코노미블록
3

트럼프, 머스크와 갈등 재점화 “추방 검토할 수도”

트럼프 / 일론머스크
4

트럼프, 머스크 정조준…”보조금 없었으면 사업 접었을 것”

5

머스크 “빅뷰티풀 법안 통과 시 ‘아메리카당’ 신규 창당”

일론 머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