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가상자산 회의 개최…중국 은행도 현지 암호화폐 지원 나서

홍콩통화청·증권선물위원회 공동 주관…은행 계좌 개설·유지 등 실질 논의 예정

홍콩 금융당국이 가상자산 업계와의 제도적 연결 고리를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에 나선다. 홍콩통화청과 증권선물위원회는 4월 28일, 현지 가상자산 기업과 은행 간 직접 대화를 추진하는 회의를 공동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이번 회의는 은행 계좌 개설 및 유지와 관련한 경험과 실무적 관점을 공유하는 데 초점이 맞춰진다. 장소는 홍콩통화청 본청사이며, 전체 가상자산 산업의 자금 조달 환경을 개선하려는 목적이 담겨 있다.

홍콩은 지난해부터 가상자산 및 웹3 기업 유치를 본격화하며 블록체인 허브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 수년간의 회의론 이후 정책 방향을 전환한 홍콩은, 최근 몇 달간 업계의 충돌과 파산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홍콩 재무장관은 암호화폐 거래소의 라이선스 신청을 공개적으로 환영한 바 있으며, 미국이 규제를 강화하는 상황 속에서 홍콩은 이를 기회로 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장 큰 과제는 은행과의 협력 구축이다. 가상자산 업체에 대해 적절한 고객확인(KYC) 및 자금세탁방지(AML) 기준을 충족하는 가운데 안정적으로 기업 계좌를 제공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는, 중국 본토의 주요 은행들이 홍콩 소재 가상자산 기업에 대한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교통은행, 중국은행, 상하이포동발전은행 등이 최근 해당 기업들과 접촉하거나 서비스 제공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중국이 수년 전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한 이후에도 여전히 신흥 가상자산 부문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한편, 미국에서는 이달 초 은행 위기 여파로 규제당국이 금융기관에 암호화폐 관련 노출 축소를 요청한 바 있다. 이에 비해 홍콩과 중국 본토는 상반된 방향에서 가상자산 산업에 접근하고 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1

마스크, X닉네임 ‘gorklon rust’로 변경후 밈코인 ‘GORK’ 급등

2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 뉴스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3

트럼프, 오피셜트럼프 코인 질문에 “대통령직으로 이익 본 적 없어”

트럼프
4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추가 매수 암시

마이클 세일러
5

인도네시아 당국, 월드코인 운영 허가 중단

월드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