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금지 정책 유지 속에서도 블록체인 기술 진흥 행보
중국 기술과학부가 지난 3월 19일 대체불가 토큰(NFT)과 분산형 애플리케이션(디앱) 개발을 장려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고 코인포스트가 보도했다. 이는 중앙정부 차원의 Web3 기술 육성 의지를 반영한 첫 공식 입장으로 평가된다.
기술과학부는 향후 Web3 발전 전략을 문서화해 관련 기술의 방향성과 목표를 명확히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국가 자문기구의 제안을 수용한 결과이며, 공업정보화부 역시 Web3 기술 촉진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정부는 NFT와 d앱을 포함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탐색을 장려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 앱 개발과 디지털 생태계 구축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분산형 신원확인(DID) 시스템 실험, 국제 협력 강화, 인재 양성 프로그램도 함께 추진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2021년 암호화폐 거래와 채굴을 전면 금지한 바 있으며, 지난해 10월 인민은행 총재가 암호화폐 거래 단속 강화를 예고하는 등 규제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기술 자체에는 계속해서 관심을 보여왔다.
올해 들어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BSN)는 블록체인 기반 실명 ID 검증 플랫폼 ‘RealDID’를 출시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디지털 ID와 개인정보를 직접 제어하면서 다양한 웹사이트에 익명으로 가입 및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지난달 개최된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에서도 블록체인을 포함한 첨단 기술 분야 협력 강화의 필요성이 언급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