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몰수 자산 등 디지털자산으로 전환 추진
카자흐스탄 정부가 국부펀드와 금, 외환보유액 일부를 활용해 최대 10억달러(약 1조4500억원) 규모의 국가 가상자산 준비금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현지 매체 타임스오브센트럴아시아(TCA)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베릭 숄판쿨로프 카자흐스탄 중앙은행 부의장은 의회 회의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히며 “올해 말이나 내년 1월 중 가상자산 준비금이 가동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부펀드와 금·외환보유액 일부를 가상자산에 투자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숄판쿨로프 부의장은 또 범죄 몰수 자산 등이 ‘국가 디지털자산 펀드’로 이관돼 정부의 전략적 비축 자산으로 보관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개발부는 국영 기업이 민간 채굴업체에 전력을 공급하고 그 대가로 가상자산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카자흐스탄은 지난 9월 바이낸스와 협력해 첫 국가 가상자산 준비금을 출범시켰으며, 포트폴리오의 첫 자산으로 BNB를 편입했다. 이후 10월 초에는 자금세탁에 연루된 130개 가상자산 플랫폼을 폐쇄하고 약 1670만달러(약 242억원) 상당의 암호화폐를 압류했다.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완전한 디지털자산 생태계 구축”을 여러 차례 강조해왔으며, 가상자산을 국가 경제체계에 통합하기 위한 규제 작업의 속도를 높일 것을 당국에 지시해왔다.
현재 카자흐스탄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시범사업과 함께 솔라나·마스터카드와 협력해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발행도 추진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