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글로벌 흐름에 뒤쳐져”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토큰증권(STO)에 대해서는 제도화와 입법 논의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내놨지만, 가상자산에 대해서는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업계에 따르면, 전날 국회 정무위원회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에서 토큰증권 제도화를 금융위의 “최우선 과제”로 규정하며, 관련 입법 논의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지난 4월부터 7월까지 7차례에 걸쳐 공식 석상에서 STO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정부 국정과제에도 포함돼 있어 오는 9월 국회 법안소위에서 처리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반면 가상자산에 대해서는 “내재가치가 없다”, “가격 변동성이 커 화폐 기능을 하기는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연금이나 퇴직계좌 편입,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 문제와 관련해서도 투기성과 불안정성을 이유로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이러한 발언을 “구시대적 시각”이라고 비판하며, 글로벌 규제 환경 변화에 뒤처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