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 지원 활발·예치 보상 구조 강화
적립 포인트·토큰 인센티브 주목
합법·대중 확산 국면 속 성장 가속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에 연동된 가치 안정성을 바탕으로 가상자산 시장의 기초 인프라 역할을 해왔다.
특히 미국에서 지니어스법이 승인되면서, 단순한 결제·송금 수단을 넘어 합법적 구조와 대중 확산 흐름에 힘입어 다양한 금융 응용과 보상 체계를 갖춘 프로젝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대형 벤처캐피털의 자금 유입과 더불어, 적립 포인트와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에게 실질적인 수익 기회를 제공하는 사례가 확대되고 있다.
아래는 업계와 미디어에서 주목받고 있는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들은 다음과 같다.
리졸브(Resolv)

이더리움 기반 $USR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한다. ETH 100% 담보 구조에 영구선물로 변동성을 헷지한다. 4월 1000만달러(약 139억원) 종자투자를 유치했으며, 코인베이스 벤처스, 서스쿼해나 등이 참여했다. 포인트 시즌 2가 진행 중이다.
유에스디닷에이아이(USD.AI)
AI 하드웨어 담보 대출 기반 프로토콜로, 8월 20일 아비트럼 네트워크에서 정식 출시됐다. 8월 14일 1340만달러(약 186억원) 시리즈A 투자를 받았고, 프레임워크 벤처스가 주도했다. $USDai를 발행하며, 예치로 $sUSDai를 얻을 수 있다. ‘Allo’ 프로그램 참여 시 ICO 배정과 에어드롭 보상이 주어진다. 전체 예치 한도는 1억달러(약 1390억원)이며, 베타 단계에서 이미 5000만달러(약 695억원)가 채워졌다.
레벨(Level)
USDC와 USDT로 담보되는 $lvlUSD를 발행한다. 예치 시 $slvlUSD를 받을 수 있으며 커브(Curve), 펜들(Pendle) 등에서 운용된다. 3월 240만달러(약 33억원) 투자를 받았으며, 2023년 8월에도 폴리체인 캐피털, 드래곤플라이 등으로부터 360만달러(약 50억원)를 조달했다. 포인트 시스템 ‘XP’가 운영된다.
오픈에덴(OpenEden)
RWA(실물자산) 플랫폼이자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이다. $USDO를 발행하며, 담보는 토큰화된 미국 국채와 머니마켓펀드다. 자체 토큰 $TBILL은 무디스에서 투자등급 ‘A’ 평가를 받았다. $TBILL 예치액은 약 3억달러(약 4170억원)이며, 8월 14일 토큰 $EDEN을 발표했다.
팔콘파이낸스(Falcon Finance)
DWF 랩스가 만든 합성 달러 프로토콜이다. 총 예치 규모는 14억달러(약 1조9460억원)다. 포인트 시스템 ‘Miles’를 운영하며, $USDf·$sUSDf와 연계한 보상 구조를 제공한다.
페레나(Perena)
솔라나 기반 인프라 프로토콜이다. 2023년 12월 약 300만달러(약 42억원) 초기 투자를 유치했고, 올해 7월 새 라운드에서 350여 투자자가 참여했다. $USD*는 USDC, USDT, PYUSD로 담보된다. 포인트 프로그램 ‘petals’가 운영 중이다.
캡(cap)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8월 18일 정식 출시됐다. 4월 1100만달러(약 1529억원) 투자를 유치했으며, 프랭클린 템플턴과 트리톤 캐피털이 참여했다.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cUSD와 이자를 지급하는 $stcUSD를 제공한다. 첫 단계 포인트 프로그램 ‘Caps’는 2주간 진행되며, 예치 규모(TVL)는 약 1550만달러(약 215억원)다.
노블(Noble)
스테이블코인·RWA 특화 체인 프로젝트다. 포춘에 따르면, 2024년 11월 1500만달러(약 209억원) 시리즈A 투자를 받았으며, 패러다임이 주도했다. 자체 스테이블코인 $USDN을 발행하며, 현재 5300만달러(약 737억원) 규모가 포인트 프로그램에 예치돼 있다.
플라스마·스테이블·템포
테더가 지원하는 비트코인 L2 플라스마(Plasma), 스테이블코인 전용 L1 스테이블(Stable), 서클이 발표한 전용 블록체인 아크(Arc), 패러다임·스트라이프가 개발 중인 결제 특화 체인 템포(Tempo), 트럼프 일가의 USD1 등도 시장에 합류했다.
– 디지털 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 투자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