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금리 동결 배경…너무 성급하면 인플레 자극

인플레 완화 속도 조심스러워
수요 자극·비용 상승 모두 경계
관세·중동 리스크, 정책 신중론 부각
피치 “재정적자 지속…복지 개혁 없인 개선 어려워”

18일(현지시간) ‘연준의 대변인’으로 불리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닉 티미라오스 기자는 현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은 연방정부 부채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강한 고용시장 속에서 낮고 안정적인 인플레이션을 유지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연준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이유로, 어떠한 조치도 부작용의 위험이 따르기 때문이라며, 물가상승률은 연준의 2% 목표에 가까워졌지만 아직 충분히 안정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지나치게 이른 금리 인하는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수입 비용이 오르면 기업들은 가격 인상을 단행할 수 있고, 이 시점에서의 인하 조치는 경제 활동을 과도하게 부추길 수 있다. 연준은 물가가 다시 3%를 넘는 수준으로 오르고 그 상태가 지속되는 상황을 경계하고 있다.

또한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정성도 변수다. 유가가 다시 오를 가능성이 커지면서, 최근의 물가 안정 흐름이 되돌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연준의 신중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공급 충격에 관세 부담이 더해질 경우, 예상치 못한 이중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같은 날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미국 재정 전망에 대해 “대규모 지출 개혁이 없다면 여전히 구조적 어려움이 크다”고 평가했다. 피치는 미국 일반정부의 재정적자가 2024년 GDP의 약 8%에서 2025년 7.1%로 소폭 줄어든 뒤, 2026년에는 다시 7.6%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남은 임기 동안에는 추가적인 재정정책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적자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사회보장과 메디케어 지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의미 있는 복지 개혁 없이는 중기적 재정 건전성 확보가 어렵다”고 덧붙였다. 미 의회예산처(CBO)는 이 같은 복지 지출이 향후 10년간 적자를 2%포인트가량 추가로 확대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미 재무장관 “비트코인 매입 안 한다…보유분 매각은 중단”

美 7월 생산자 물가지수 3.3%↑예상치 크게 상회…2월 이후 최고

S&P500·나스닥 사상 최고가…WSJ “미 연준 9월 금리인하 기대감”

美 7월 CPI 전년比 2.7%↑ 예상치 하회 · 근원은 상회

나카모토·카인들리MD 합병 완료…비트코인 재무 상장사 전환

씨티그룹, 스테이블코인·비트코인 ETF 수탁·결제 서비스 검토

美 SEC, 솔라나 ETF 10월 16일로 심사 연기

미 은행업계, 트럼프 스테이블코인 법 개정 요구…거래소 등 이자 지급 제한해야

디지털자산 헤드라인

미국 월스트리트

美 7월 생산자 물가지수 3.3%↑예상치 크게 상회…2월 이후 최고

코인 이미지

[시황]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이더리움은 근처…기관 유입이 상승 주도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인기뉴스

1

업비트 싱가포르, 싱가폴 달러마켓에 카이아 코인 상장

카이아(KAIA)
2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 코인, 장외 거래가 0.3달러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
3

美 7월 생산자 물가지수 3.3%↑예상치 크게 상회…2월 이후 최고

미국 월스트리트
4

코인베이스, 월렛커넥트(WCT) 상장 · 유즈리스 코인(USELESS) 상장 로드맵 추가

코인베이스
5

알트코인 미결제약정 470억달러, 변동성 확대 되나

코인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