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자산 노출 차단 조치…핀테크 업계는 반발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국가 결제 시스템 내 디지털 자산의 노출을 제한하기 위한 조치로,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의 암호화폐 거래 지원을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공식 성명에 따르면, 결제 계좌를 제공하는 모든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는 중앙은행의 승인을 받지 않은 암호화폐를 포함한 디지털 자산의 운영 및 사용이 금지된다. 이에 따라 핀테크 기업과 금융기관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암호화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이번 결정은 모든 종류의 코인과 토큰에 적용된다. 그러나 조치의 구체적 적용 방식이나 지역 암호화폐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현지 언론은 다수 결제 서비스 업체들이 이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아르헨티나 핀테크 상공회의소는 성명을 통해 “우리 사회에 다양한 혜택과 기회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접근을 제한한다”며, 정부가 이번 조치를 재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플레이션 속 암호화폐 수요 증가
아르헨티나통계청에 따르면, 3월 기준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104.3%에 달했다. 아르헨티나 페소의 가치는 지난 1년간 미국 달러 대비 약 50% 하락했으며, 이에 따라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코인텔레그래프는 비트코인의 인기가 페소의 평가절하와 반비례 관계를 보인다고 보도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암호화폐를 실질적 대체 자산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산루이스 지방은 지난해 미국 달러에 연동된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소비자의 30% 이상이 일상 구매에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1,000달러 미만의 소액 거래다.
규제 강화 속 사용자 반응 주목
중앙은행의 이번 조치는 디지털 자산 리스크를 통제하려는 시도로 해석되지만, 고물가와 금융 불안정 속에서 암호화폐를 결제와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하는 시민들에게는 큰 제약이 될 수 있다.
향후 이번 규제가 아르헨티나 내 암호화폐 사용과 핀테크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사용자들의 반응과 업계 대응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