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셉 루빈 “주요 국부펀드와 협의 중”…이더리움 기반 인프라 구축 논의

국부펀드와 레이어1·레이어2 기반 협력 모색

조셉 루빈 컨센시스 최고경영자(CEO) 겸 이더리움 공동 창업자가 특정 국가의 주요 국부펀드 및 은행들과 이더리움 기반 인프라 구축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루빈은 3일(현지시간) 팟캐스트 ‘포모아워(Fomo Hour)’에 출연해 “매우 큰 국가의 주요 국부펀드 및 은행들과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을지를 논의하고 있다”며 “이더리움 레이어1 위에 구축하되, 해당 국가만의 레이어2 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루빈은 “현재 금융 시스템에는 구조적인 피로감이 존재한다”며 “과잉 금융화와 중산층의 몰락이 겹쳐, 기존 금융 슈퍼사이클의 끝자락에 다다랐다”고 말했다. 이어 “분산형 프로토콜이 새로운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해법”이라고 덧붙였다.

이더리움이 기관 투자자나 국가 단위로는 비트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아왔지만, 최근 콘센시스는 이더리움 국고 모델 확산을 위한 행보에 나서고 있다. 콘센시스는 최근 상장사 샤프링크 게이밍에 대한 4억2500만달러(약 5865억원) 규모 투자를 주도했으며, 루빈은 샤프링크 이사회 의장직도 맡았다.

샤프링크는 마이클 세일러의 비트코인 중심 전략과 달리, 이더리움을 활용해 스테이킹·리스테이킹·디파이 등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국고를 운용할 계획이다. 루빈은 “이더리움을 수동적으로 보유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신중한 위험관리 하에 적극적으로 활용해 수익을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루빈은 이더리움의 현재 상황에 대해 “비트코인과 솔라나가 명확한 메시지를 내세우는 반면, 이더리움은 조용히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었다”며 “가격이 하락하면 내러티브도 따라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11/11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변동 없음

이더리움 재단 dAI팀 ‘인공지능 결제 인프라 로드맵 2026’ 공개

비트마인, 이더리움 11만288개 추매…총 350만 ETH 보유

11/8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698억원 순유출

바이낸스, 알로라(ALLO) 현물·무기한 선물마켓 상장

인테인·FIS, 아발란체 기반 중소은행 대출 토큰화 플랫폼 출시

OKX, 알로라(ALLO) 코인 현물마켓 상장·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카르다노 재단 이머고·와이어엑스, 에이다 카드 출시

인기뉴스

1

라인, 카카오게임즈 인수 검토

라인
2

미 재무부, 가상자산 ETF 스테이킹 지급 승인

스콧 베센트 - NYT
3

코인베이스, 토큰 출시 플랫폼 출범…모나드 코인 첫 공개 판매

코인베이스
4

OKX, 알로라(ALLO) 코인 현물마켓 상장·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OKX 거래소
5

11/11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17억원 순유입

비트코인 현물 ETF
6

유니스왑 재편안 ‘유니피케이션’ 공개…UNI 코인 소각 모델 도입 제안

유니스왑
7

모나드, 총 발행량 1000억개 ‘MON’ 토크노믹스 공개…메인넷 출시 예정

모나드(Monad)
비트코인 현물 ETF
이더리움 ETF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