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래스노드 “비트코인, 고래부터 새우까지 전 지갑군 동시 매집”

1월 이후 이어진 매도세 뒤집혀

23일 코인데스크 시장 분석가 제임스 반 스트라텐은 비트코인(BTC)이 11만1000달러(약 1억5300만원)를 돌파했으며, 고래부터 새우까지 전 지갑군에서 동시다발적인 매집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시장 분석업체 글래스노드 데이터에 따르면, 고래부터 소액 투자자까지 모든 보유 계층에서 강력한 매수세가 나타났는데, ‘매집 추세 점수(Accumulation Trend Score)’가 최고치인 1.0을 기록했다.

글래스노드

해당 지표는 지난 15일간의 비트코인 순매입량을 기준으로, 각 지갑의 기존 보유량 대비 매입 강도를 측정하며, 거래소와 채굴자 지갑은 제외해 왜곡을 방지했다.

스트라텐은 5월 초 대형 보유자(1만 BTC 이상)를 중심으로 시작된 매집이 가격 상승과 함께 소형 보유자까지 확산됐다고 설명했다. 이는 1월 고점(10만9000달러) 이후 4월까지 이어진 전반적인 매도 흐름이 반전된 것이다.

옵션 시장도 강한 상승 기대를 반영하고 있다. 코인데스크 리서치에 따르면, 6월 만기 기준 30만달러 콜옵션이 가장 많이 거래된 계약으로 6억2000만달러(약 8500억원) 규모의 미결제약정이 몰렸고, 20만달러 콜옵션에도 4억2000만달러(약 5800억원)가 집중돼 있다.

스트라텐은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뒤 하락했던 과거와 달리, 금이나 S&P500과 같은 전통자산이 고점 이후에도 상승 흐름을 이어가는 패턴을 비트코인도 따른 다면, 지속적인 상승장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모건스탠리, 비트코인 ‘수확기’ 비유…“겨울 오기 전 차익 실현해야”

코인 시총 확대에도 거래량 반토막…매트릭스포트 “유동성 리스크” 지적

11/12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7642억원 순유입

펌프펀, 현재까지 2500억원 규모 PUMP 코인 바이백…유통량 10.9% 감소

비자, 크리에이터 대상 스테이블코인 USDC 지급 시범사업 개시

골드만삭스 “미 셧다운 이번주 끌날 시 다음주 초 고용데이터 발표 전망”

모건스탠리, 비트코인 ‘수확기’ 비유…“겨울 오기 전 차익 실현해야”

KODA, 디파이 플랫폼 클리어풀 협력…국내 디파이 생태계 지원

인기뉴스

1

OKX, 알로라(ALLO) 코인 현물마켓 상장·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OKX 거래소
2

마라 CEO “비트코인 채굴, 에너지 확보 없이는 생존 불가…2028년 반감기 이후 생태계 급변할 것”

마라 홀딩스(MARA Holdings)
3

폴리마켓서 미국 정부 15일 이전 셧다운 종료 확률 97%

4

미 하원, 42일간의 셧다운 종료 타협안 표결 예정

미국
5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6

캐너리 엑스알피(XRP) 현물 ETF, 13일 상장 전망

XRP 레저 - 리플
7

바이낸스, 알로라(ALLO) 현물·무기한 선물마켓 상장

바이낸스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비트코인 현물 ETF
이더리움 E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