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YC(고객확인제도) 란?

kyc 이미지
이미지 출처 : freepik
[목차]
1. Know Your Customer (고객확인제도)
2. KYC 절차
3. 디지털 자산 시장과 KYC


1. Know Your Customer (고객확인제도)

고객확인제도(KYC)는 금융 기관이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위험을 평가하며, 불법 활동을 예방하기 위한 절차다.

KYC 절차는 금융 섹터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며, 특히 은행, 증권 회사, 보험사 및 암호화폐 거래소와 같은 기관들이 이를 수행한다.

KYC 절차의 핵심 목표는 자금세탁, 테러 자금 조달, 사기 및 기타 금융 범죄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금융 기관은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고객의 금융 활동을 이해하며, 높은 위험을 가진 고객을 식별할 수 있다.




2. KYC 절차

KYC절차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 신원 확인: 고객이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신원을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는 여권,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의 신분증을 요구할 수 있다.
  • 거주지 확인: 고객의 주소를 확인하기 위해 최근 날짜의 공공 요금 청구서, 은행 명세서 등을 요구할 수 있다.
  • 실질 소유주 확인: 기업 고객의 경우, 실질 소유주의 신원을 확인하며, 법인 구조 및 소유권 정보를 수집한다.
  • 위험 평가: 고객의 금융 활동, 거래 유형 및 규모를 평가하여 위험 수준을 결정한다.


KYC절차를 완료한 후에는, 금융 기관은 지속적으로 고객의 거래를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활동이나 높은 위험 거래를 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금융 기관은 자금세탁과 테러 자금 조달과 같은 불법 활동을 예방하고, 규제기관과의 합법성을 유지할 수 있다.




3. 디지털 자산 시장과 KYC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KYC(Know Your Customer)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지만, 탈중앙화 거래소(DEX)와 관련하여, KYC의 필요성은 논란이 될 수 있다.

탈중앙화 거래소는 중앙 서버나 중개자가 없이 사용자 간의 직접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DEX는 빠르게 인기를 얻었으며, 사용자에게 더 많은 프라이버시와 자유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들은 동시에 자금세탁 및 범죄 자금 조달과 같은 위험한 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일부 국가와 규제 기관은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KYC절차를 도입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KYC프로세스는 거래소가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거래 관련 의심스러운 활동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탈중앙화 거래소의 본질적인 프라이버시와 자유를 보호하려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KYC의 도입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일부 사용자는 KYC가 탈중앙화 거래소의 핵심 이점을 손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결국 KYC의 도입 여부는 각 거래소의 결정에 달려있으며, 국가 및 규제 기관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관련정보

✉ eb@economybloc.com

└관련 뉴스

최신 뉴스📨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 뉴스 헤드라인

업비트

업비트, 만트라(OM)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미국 비트코인 이미지

美 텍사스 하원, 비트코인 전략 비축 법안 2차 표결 통과

코인 이미지

美 SEC, 엑스알피·도지코인·이더리움 스테이킹 현물 ETF 심사 연기

코인 이미지

[시황] 비트코인 1.5억원 근접…이더리움 투자상품 유입증가·XRP 선물 상장·솔라나 ETF 연기

인기뉴스

1

미 상원, 스테이블코인 ‘GENIUS 법안’ 공식 심의 절차 돌입

스테이블코인
2

美 SEC, 엑스알피·도지코인·이더리움 스테이킹 현물 ETF 심사 연기

코인 이미지
3

바이낸스 알파, 도쿄게임즈토큰(TGT) 코인 21일 상장 · 에어드랍 예정

바이낸스 알파
4

마이크로소프트, 스페이스앤드타임(SXT) 협력…자사 플랫폼 패브릭에 블록체인 데이터 통합

마이크로소프트
5

美 CME, 엑스알피(XRP) 선물 개시…솔라나 넘어 첫날 거래액 270억원

XRP 레저 - 리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