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 이더리움 변동성 확대…고위험 베타 밈코인 무뎅(MOODENG)·페페(PEPE) 등 급등

펙트라 업그레이드 영향 주목
비트코인 점유율 하락하고, 알트코인 시즌 올까
파생상품 시장도 레버리지 확대 흐름

가상자산 시장의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더리움의 변동성 지표가 비트코인을 크게 앞지르며 알트코인 시장 전반의 활기를 시사하고 있다고 9일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일부 시장 참여자들은 지난 5월 초 시행된 펙트라(Pectra) 업그레이드 이후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24시간 동안 3만8000개 이상의 이더리움이 소각되며 디플레이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데리빗에서는 이더리움 콜옵션 중 높은 행사가격 옵션에 대한 매수가 늘고 있는 상황이다.

비트코인 점유율(도미넌스)은 5개월간 이어온 상승세가 마무리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알트코인 강세장, 이른바 ‘알트코인 시즌’이 도래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주요 소식으로는 미국 패스트푸드 체인 ‘스테이크 앤 셰이크(Steak ‘n Shake)’가 오는 5월 16일부터 미국 전역의 매장에서 비트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억 명 이상의 고객이 비트코인으로 햄버거나 밀크셰이크 등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세계 최대 가상자산 옵션 거래 플랫폼 데리빗을 현금과 주식으로 구성된 총 29억달러(약 4조60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데리빗은 글로벌 가상자산 옵션 거래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이번 인수로 코인베이스는 현물과 파생상품을 모두 포괄하는 종합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고위험 베타 밈코인 페페·무뎅 폭등

이더리움 가격 상승에 베타로 연동되는 대표 밈코인 페페(PEPE)가 지난 24시간 동안 40% 이상 급등했다. 이더리움의 상승에 이를 추종하는 고위험 투기성 자산으로 간주되는 코인들이 강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2024년 초부터 PEPE는 이더리움과의 연관성이 강화된 이후, 이더리움 관련 주요 기술 업데이트나 서사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더리움의 20% 상승을 이끈 요소 중 하나인 ‘펙트라(Pectra)’ 업그레이드 전후에도 PEPE는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거래량도 크게 늘었다. PEPE의 24시간 거래대금은 35억달러(약 4조9000억원)로, 전날 5억달러(약 7000억원) 대비 수 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지난 1년간 가장 강한 주간 흐름으로, 밈코인 전반에 대한 위험 선호 심리가 되살아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파생상품 데이터에서는 PEPE 선물의 미결제약정과 자금조달비용(펀딩레이트) 모두 상승세를 나타내며, 높은 변동성을 노린 레버리지 거래가 확대되고 있는 분위기다.

솔라나 기반의 하마 테마 밈코인 무뎅(MOODENG)은 150% 이상 급등했다. 태국산 바이럴 밈을 기반으로 한 이 프로젝트는 아시아권 트레이더들 사이에서 인지도가 높다. 고양이 테마의 MOG 역시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으나, 유동성과 가시성 측면에서 PEPE가 ETH 베타 무브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시장 데이터

한편, 파생상품 시장 전반에서도 낙관적 흐름이 이어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선물 연환산 기준 가격차는 7% 수준에서 유지되며, 시장 성숙도를 반영하고 있다는 평가다. 주요 해외 거래소에서는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주요 자산의 무기한 선물 펀딩비가 연환산 기준 10~14%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다.

옵션 시장에서는 콜옵션 선호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일부 블록딜에서는 5월 15일 만기 9만5000달러 풋옵션 숏 포지션과 5~6월 만기 캘린더 스프레드 거래가 포착됐다.

비트코인 도미넌스(점유율)는 지난해 12월 이후 상승세를 지지해 온 추세선 아래로 이탈할 가능성이 제기되며, 알트코인 강세장의 전조로 해석되고 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 - 코인데스크/트레이딩뷰
비트코인 도미넌스 – 코인데스크/트레이딩뷰

다가오는 코인 일정

9일: 무브먼트(MOVE) 2.04% 토큰 언락 ($8.08M)
9일: OKX, 지토SOL(JITOSOL/USDT) 상장
11일: 솔레이어(LAYER) 12.87% 토큰 언락 ($35.66M)
12일: 앱토스(APT) 1.82% 토큰 언락 ($57.45M)
12일: 미국 SEC, ‘토큰화: 전통금융과 디파이의 만남’ 라운드테이블 개최
13일: 화이트빗코인(WBT) 27.41% 토큰 언락 ($1.14B)
14일: 네오(NEO) 메인넷 하드포크 업그레이드 (v3.8.0, 블록 높이 7,300,000)
14일: 반에크 온체인 이코노미 ETF(NODE) 출시 예정
15일: 스타크넷(STRK) 4.09% 토큰 언락 ($17.7M)
15일: 모카 네트워크, 디스코드 타운홀 세션 개최
15일: 세이 네트워크, 코스모스 지원 종료 제안
16일: 코인베이스, 갤럭시(GAL)·리트엔트리(LIT)·마인즈 오브 달라니아(DAR)·오리온 프로토콜(ORN)·파식(PRQ) 상폐
16일 미 가상자산 투자사 갤럭시디지털, 나스닥 상장 (티커: GLXY)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1

트럼프 격노, 지난3월 트루스소셜 게시글에 리플 로비스트가 엑스알피·솔라나·에이다 지지글 초안 작성

도널드 트럼프
2

업비트, 히포크랏(HPO)→히포 프로토콜(HP) 코인 리브랜딩·토큰 스왑 완료, 거래지원 예정

업비트
3

비트코인 10만 달러 목전…트럼프 “중대 무역협정 곧 발표” 예고

코인 이미지
4

빗썸, 수익률 상위 100명 투자 패턴 공개…1위 트레이더 월간 수익률 656% 기록

빗썸
5

리플·미국 SEC, 1750억원→700억원으로 벌금 합의

리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