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무역대표부, 무역 협상 템플릿 제시
- 18개국 상대로 7월 8일까지 순차적 협상 추진
- 멕시코·캐나다·중국은 별도 협상 예정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이른바 ‘상호 관세’ 정책 추진을 위해 무역 협상 틀을 마련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26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무역대표부(USTR)가 준비한 문서를 토대로 관세 및 할당량, 비관세 장벽, 디지털 무역, 원산지 규정, 경제 안보 및 기타 상업적 사안 등 주요 범주를 설정하고, 이 범주별로 국가별 요구사항을 구체화하는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USTR 대변인은 “조직적이고 엄격한 틀 아래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과 무역대표부는 미국의 목표를 명확히 제시했다”고 밝혔다.
협상은 앞으로 두 달 동안 약 18개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1주일에 6개국씩 3주에 걸쳐 18개국을 대상으로 한 주기가 반복된다. 협상 시한은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7월 8일로, 이때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한 국가는 상호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90일 유예 기간을 추가 연장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협상 일정은 상황에 따라 지연될 수 있으며, 현재까지 미국은 18개국으로부터 무역 제안서를 수령한 상태다.
협상 대상국 명단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인도는 제이디 밴스 부통령의 뉴델리 방문 중 광범위한 협상 틀에 합의해 다른 국가들보다 협상이 앞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멕시코와 캐나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명령이 적용되지 않아 이번 협상 틀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크며, 중국은 최소 145% 이상의 고율 관세가 별도로 부과될 예정이어서 다른 경로를 통해 협상이 진행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중국과 “매일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중국 측은 실질적인 교섭은 없다고 부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했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시점은 공개하지 않았다.
유럽연합(EU)과 기타 국가들은 미국과의 협상에 대비해 독자적인 기준을 마련 중이다. EU는 부가가치세(VAT)나 농업 보조금 관련 협상에는 응하지 않을 방침이며, 영국은 식품 및 자동차 안전 기준 변경을 협상 대상에서 제외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일부 무역 파트너들은 미국이 아직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전달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지만, USTR 측은 유럽 측에 반복적으로 협상 틀을 전달했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