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CNBC “트럼프 경제정책 지지율, 취임 이후 최저”

관세·인플레이션·지출 불만 속 지지율 하락
미국 주식시장도 전망 악화

19일(현지시간) 미국 경제 매체 CNBC는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미 경제 여론조사’ 결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경제 분야 지지율이 취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응답자 중 43%가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운영을 지지한다고 밝혔고, 55%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전체 대통령직 수행에 대한 지지율은 44%, 반대율은 51%로 나타났다. 2020년 퇴임 당시보다는 소폭 상승했지만, 경제 분야에서는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재선 이후 증가했던 경제 낙관론은 감소했으며, 미국 경제가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202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주식시장에 대한 비관적 전망도 증가했다.

정당별로는 민주당 응답자의 경제 운영 순지지율이 -90으로, 1차 임기 평균보다 30포인트 하락했다. 무당층의 순지지율도 23포인트 감소했다. 핵심 지지층인 블루칼라 노동자들 사이에서는 긍정적 평가가 유지되고 있으나, 반대 응답 비율은 평균 대비 14포인트 상승했다.

하트 어소시에이츠의 제이 캠벨은 “트럼프는 경제 회복을 공약으로 내세워 재선에 성공했지만, 국민의 기대는 충족되지 못했다”고 밝혔다.

경제 전망에 대해서는 49%가 향후 1년간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으며, 이는 2023년 이후 가장 부정적인 수치다. 공화당 지지자 76%는 경제 개선을 예상했지만, 민주당과 무당층에서는 각각 83%, 54%가 경제 악화를 예상했다. 트럼프 정책의 장기적 긍정 효과를 언급한 응답자는 27%였으며, 40%는 현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판단했다.

관세 정책에 대해서는 49%가 전면적 관세 부과에 반대했으며, 찬성은 35%에 그쳤다. 민주당은 83포인트, 무당층은 26포인트 차이로 반대 입장을 보였다. 공화당은 59포인트 차이로 지지했지만, 대통령 지지율보다는 20포인트 낮았다.

대외 경제 인식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캐나다, 멕시코, 유럽연합(EU), 일본에 대해서는 ‘경제적 기회’라는 인식이 우세해졌으며, 이는 1차 임기 당시보다 개선된 수치다. 공화당 지지자들 역시 대통령의 강경 노선과는 온도차를 보였다. 반면, 중국에 대해서는 44%가 ‘경제적 위협’으로 인식해, 2019년 대비 악화된 수치를 나타냈다.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항목은 인플레이션 대응으로, 전체 응답자의 60%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공화당 내에서도 해당 항목 순지지율은 58%로, 조사 항목 중 가장 낮았다.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도 확대돼, 57%가 이미 침체가 시작됐거나 곧 진입할 것으로 응답했으며, 이는 2024년 3월 40%에서 상승한 결과다.

연방 지출에 대해선 반대가 51%, 찬성이 45%였고, 외교 정책에 대해서도 53%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이민 정책에 대한 지지는 비교적 높았다. 남부 국경 통제 지지율은 53%, 반대율은 41%였으며, 불법 이민자 추방에 대해서도 52%가 지지했다. 무당층에서도 추방 정책에 긍정적 반응이 있었고, 민주당 내에서도 22%가 국경 통제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주식시장 전망도 악화됐다. 53%가 지금을 ‘투자에 나쁜 시기’로 평가했으며, ‘좋은 시기’라는 응답은 38%에 그치며, 트럼프 대통령 당선 직후와는 대조되는 결과다.

의회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8%, 공화당 46%로, 2022년 3월 조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eb@economybloc.com

└관련 뉴스

최신 뉴스📨

인기뉴스

1

미국 가상자산 현물 ETF 신청 현황…XRP 포함 알트코인 9종·DOGE 포함 밈코인 4종 접수

미국 가상자산 현물 ETF 신청 현황 - ai_9684xtpa
2

트럼프, 오피셜트럼프(TRUMP) 코인 보유자 대상 만찬 계획?

오피셜 트럼프(TRUMP)
3

WSJ “트럼프, 관세유예 결정은 재무·상무장관의 긴급제안 수용 결과”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서명
4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 뉴스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5

푸틴, 우크라 전쟁 부활절 휴전 선언

푸틴

20일: 플럭스(FLUX) 플럭스그레이더 공개
20일: 페치(FET) AI 결제 기능 구현

21일: 아스타(ASTR) DAO 자금 배치 투표 종료
21일: 비앤비(BNB) OpBNB 메인넷 출시
21일: 밸런스(EPT) 쿠코인 상장 (EPT/USDT)
22일: 비앤비(BNB) 크라켄 상장
22일: MRS 1000만 토큰 언락
🌐22일: 테슬라 실적 발표
🌐23일: 메타 실적 발표
23일 오후3시: 빗썸, 지벡(ZBCN) 상장폐지
23일~24일: 러시아 블록체인 포럼 2025 개최 (모스크바)
23일: 지벡(ZBCN) 카본 카드 X 스페이스
24일: 롬바드 스테이킹 BTC(LBTC) 바빌론 스테이킹 재개
🌐24일: 한국 경제성장률 발표
25일: 솔라나 크로스로드 컨퍼런스 종료
25일 미국 SEC ‘암호화폐 커스터디(보관) 규제 논의’
25일~26일: 솔라나 크로스로드 개최 (커뮤니티 행사)

*현지시간 기준
*해당일정은 연기/취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