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의 가상자산 은행 시그넘은 2025년 2분기(4~6월) 투자 전망 보고서를 통해, 거시 경제의 불확실성과 통화 가치 하락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비트코인(BTC)의 안전 자산으로서의 특성이 부각되며 시장 점유율이 4년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시그넘 보고서
시그넘은 미국 주 정부 차원의 비트코인 준비금 설립 논의가 정체된 상황 속에서도,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블랙록 최고경영자 래리 핑크가 비트코인의 가치 저장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고 조명했다. 핑크는 미국이 국채 관리에 실패할 경우, 비트코인이 달러를 대체할 글로벌 준비 통화가 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가상자산의 활용 사례에 대한 규제 환경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도 강조됐다. 시그넘은 이러한 변화가 시장 가격에는 아직 반영되지 않았다고 평가하면서, 알트코인 시장의 반등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더리움은 경쟁 프로젝트의 도전 속에서 전체 생태계의 유동성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주요 레이어2 네트워크인 베이스와 옵티미즘이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일부 수익을 포기할 의사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솔라나는 일일 수익이 1월 최고점 대비 99% 감소했으며, 밈코인 유행 붕괴 이후 구조적 한계가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비트와이즈 보고서
같은 주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는 별도 보고서를 통해 2025년 1분기를 “역사적으로 긍정적인 움직임이 많았던 시기”로 평가하면서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가격이 각각 1월 최고점 대비 22.2%, 45% 하락했다고 밝혔다.
비트와이즈는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디지털 자산 성장에 대한 행정명령 서명, 비트코인 전략적 준비금 설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가상자산 업계 소송 철회 등 업계가 기대하던 환경 변화가 실현되었음에도 가격 하락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스테이블코인 운용 자산은 전 분기 대비 13.50% 증가한 2,180억달러(약 316조 1,000억원)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토큰화된 실물 자산(RWA) 분야도 37.07% 성장했다고 밝혔다.
비트코인 선물 거래량과 미결제 약정(OI) 역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해 기관 투자자의 관심 확대를 시사했다.
비트와이즈는 이러한 수치를 기반으로 시장의 구조적 기반이 강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두 보고서 내용을 종합하면, 2025년 2분기로 가상화폐 규제 환경이 개선되고 비트코인의 기축통화적 지위가 강화되는 한편, 이더리움을 비롯한 알트코인 시장에서도 경쟁과 협력 구도가 형성되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실물자산 토큰화 및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실질적인 활용 분야가 시장을 주도할 가능성이 있으며, 1분기 가격 하락 이후 반등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