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경4000조원 규모 미국 국채 발행 전망
해외 수요 약화시 국채 금리 상승 압력
바이낸스 리서치가 18일, 미국 국채 공급 확대가 암호화폐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바이낸스 리서치는 2025년 미국 국채 시장에서는 차환 발행을 포함해 총 31조달러(약 4경4000조원) 규모의 국채가 입찰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같은 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예상치의 약 109%, 현금과 예금 등 유통통화(M2)의 144%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보고서는 이 같은 수치가 사상 최고 수준에 가까우며, 미국 정부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전체 미국 국채의 약 3분의 1이 해외 보유자에 의해 보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글로벌 자산 포트폴리오 재조정 흐름 속에서 해외 보유자들의 수요가 줄거나 매도가 확대될 경우, 미국 국채의 수익률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러시아, 중국 등 일부 국가는 최근 미국 국채 보유를 줄이고 금(Gold) 등 실물 자산으로의 자산 재분배를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해외 수요가 유지되더라도 발행 규모 자체가 워낙 커 2025년 한 해 동안 금리 상승 압력은 지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코인 시장에 미칠 영향
바이낸스 리서치는 미국 국채 수익률 상승이 암호화폐를 포함한 위험 자산 전반의 가격 상승 여력을 제한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미국 정부가 재정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통화를 추가 발행할 경우, 통화가치 하락에 대비한 수단으로 비트코인(BTC)과 같은 자산을 선택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각국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상승세를 보였던 사례도 함께 언급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9월, 블랙록이 고객들 사이에서 비트코인이 미국의 부채 위기에 대한 대비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밝힌 점도 인용했다.
비트코인이 ‘디지털 골드’로 불리지만, 아직까지는 금과 같은 안전자산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시각도 소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