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채 공급증가, 코인시장 압박 요인될 수도 – 바이낸스 리서치

올해 4경4000조원 규모 미국 국채 발행 전망
해외 수요 약화시 국채 금리 상승 압력

바이낸스 리서치가 18일, 미국 국채 공급 확대가 암호화폐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바이낸스 리서치는 2025년 미국 국채 시장에서는 차환 발행을 포함해 총 31조달러(약 4경4000조원) 규모의 국채가 입찰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같은 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예상치의 약 109%, 현금과 예금 등 유통통화(M2)의 144%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보고서는 이 같은 수치가 사상 최고 수준에 가까우며, 미국 정부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전체 미국 국채의 약 3분의 1이 해외 보유자에 의해 보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글로벌 자산 포트폴리오 재조정 흐름 속에서 해외 보유자들의 수요가 줄거나 매도가 확대될 경우, 미국 국채의 수익률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러시아, 중국 등 일부 국가는 최근 미국 국채 보유를 줄이고 금(Gold) 등 실물 자산으로의 자산 재분배를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해외 수요가 유지되더라도 발행 규모 자체가 워낙 커 2025년 한 해 동안 금리 상승 압력은 지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ustreasury auction 2025
바이낸스 리서치

코인 시장에 미칠 영향

바이낸스 리서치는 미국 국채 수익률 상승이 암호화폐를 포함한 위험 자산 전반의 가격 상승 여력을 제한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미국 정부가 재정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통화를 추가 발행할 경우, 통화가치 하락에 대비한 수단으로 비트코인(BTC)과 같은 자산을 선택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각국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상승세를 보였던 사례도 함께 언급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9월, 블랙록이 고객들 사이에서 비트코인이 미국의 부채 위기에 대한 대비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밝힌 점도 인용했다.

비트코인이 ‘디지털 골드’로 불리지만, 아직까지는 금과 같은 안전자산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시각도 소개됐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최신뉴스📨

이코노미블록 PICK

코인 이미지

[시황] 비트코인 변동성 지표 1년래 최저 수준…현물 상환 ETF 심사 연기 소식 등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 뉴스 헤드라인

도널드 트럼프

트럼프 “주식 시장 급등할 것”

업비트

업비트, 넥스페이스(NXPC)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트웬티원

트웬티원 캐피탈, 비트코인 4812개 매수…캔터·테더·소프트뱅크 후원

인기뉴스

1

업비트, 넥스페이스(NXPC) 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업비트
2

JP모건 체이스, 온도(ONDO0) 블록체인으로 첫 국채 토큰화 공개 거래

온도파이낸스(ONDO)
3

비체인 “인간 행동을 토큰화” 개발…테슬라 주행도 온체인 보상 구조 등 연구

비체인(VET)
4

버추얼 코인, 스테이킹 보상 시스템 도입

버추얼 프로토콜(Virtuals Protocol)
5

업비트, 해외금융계좌(가상자산 포함) 5억원 초과 보유자, 국세청 신고 안내 공지

업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