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장관 “국채 시장 외국인 투매 아냐, 필요시 대응 수단 충분해”

“최근 하락, 외국의 매도 아닌 디레버리징 영향”

블룸버그에 따르면,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국채 시장에서 발생한 급격한 가격 하락에 대해 외국 정부가 보유 채권을 대거 매도한 결과라는 전문가들의 주장을 일축하며, 상황 악화 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대응 수단이 준비돼 있다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4월 14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를 방문한 자리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매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주 10년물과 30년물 국채 입찰에서 외국 수요가 증가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국채 수익률(금리) 급등세와 관련해 “주요 원인은 디레버리징(deleveraging)”이라며 “타국의 매도 증거는 없다”고 강조했다.

디레버리징은 과도한 부채를 줄이는 과정을 말한다. 기업이나 개인, 금융기관, 정부 등이 보유한 부채(레버리지)를 줄이기 위해 자산을 매도하거나 소비·투자를 줄이는 행동이다. 이 과정에서 시장 전반의 유동성이 감소하고, 자산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베센트 장관은 “지금은 조치를 취해야 할 상황과는 거리가 있다”며 “필요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대응 수단이 다양하다”고 덧붙였다. 그 예로 구국채를 재매입하는 프로그램을 언급하며 “원한다면 매입 규모를 확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미국 국채는 지난주 2001년 이후 최대 주간 하락폭을 기록했으며, 달러화 역시 하락세를 나타냈다. 일부 시장 트레이더들은 이를 미국 자산에 대한 국제적 신뢰가 약화되고 있는 신호로 해석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의 최근 회동에서 해당 사안이 논의됐는지 여부에 대해 베센트 장관은 “위기 대응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며 “연준 의장이 우려했다면 당연히 입장을 밝혔을 것”이라고 말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트럼프 “EU·한국·일본, 관세 낮추려 시장 개방 하려해”

트럼프 “관세 인내심 끝났다”…각국에 협상 압박 수위 높여

트럼프, 현재까지 총 25개국에 상호관세 부과 서한 발송

트럼프, EU·멕시코에 8월부터 30% 상호관세 부과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7/15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3574억원 순유입

아발론 랩스, AI 기반 RWA 상품 출시 예고

엔비디아, AI 칩 H20 중국 수출 재개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미국 관세

시장, 트럼프 관세 발언 ‘협상 전략’으로 해석 · 오늘밤 美 CPI 발표 등

스트래티지(MSTR)

스트래티지, 주간 비트코인 4225개 추매

주간 디지털자산 펀드: 24억달러 순유입…운용자산 291조원 돌파

인기뉴스

1

VC들이 꼽은 ‘크립토 기업 IPO’ 다음 주자는?

코인 이미지
2

엘리시아,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인프라 공개

엘리시아(ELYSIA)
3

이더리움 상승 수혜 3대 섹터 – 뱅크리스

이더리움
4

美 하원 ‘암호화폐 주간’ 돌입…스테이블코인·시장구조·CBDC 금지 법안 표결 예정

미국 비트코인
5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