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장관 “국채 시장 외국인 투매 아냐, 필요시 대응 수단 충분해”

“최근 하락, 외국의 매도 아닌 디레버리징 영향”

블룸버그에 따르면,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국채 시장에서 발생한 급격한 가격 하락에 대해 외국 정부가 보유 채권을 대거 매도한 결과라는 전문가들의 주장을 일축하며, 상황 악화 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대응 수단이 준비돼 있다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4월 14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를 방문한 자리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매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주 10년물과 30년물 국채 입찰에서 외국 수요가 증가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국채 수익률(금리) 급등세와 관련해 “주요 원인은 디레버리징(deleveraging)”이라며 “타국의 매도 증거는 없다”고 강조했다.

디레버리징은 과도한 부채를 줄이는 과정을 말한다. 기업이나 개인, 금융기관, 정부 등이 보유한 부채(레버리지)를 줄이기 위해 자산을 매도하거나 소비·투자를 줄이는 행동이다. 이 과정에서 시장 전반의 유동성이 감소하고, 자산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베센트 장관은 “지금은 조치를 취해야 할 상황과는 거리가 있다”며 “필요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대응 수단이 다양하다”고 덧붙였다. 그 예로 구국채를 재매입하는 프로그램을 언급하며 “원한다면 매입 규모를 확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미국 국채는 지난주 2001년 이후 최대 주간 하락폭을 기록했으며, 달러화 역시 하락세를 나타냈다. 일부 시장 트레이더들은 이를 미국 자산에 대한 국제적 신뢰가 약화되고 있는 신호로 해석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의 최근 회동에서 해당 사안이 논의됐는지 여부에 대해 베센트 장관은 “위기 대응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며 “연준 의장이 우려했다면 당연히 입장을 밝혔을 것”이라고 말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트럼프, 항소법원 관세 불법 판결에 반발 “대법원에서 뒤집힐 것”

트럼프 관세, 미국 연방 항소법원에서 불법 판결

미 재무장관 “지니어스 법안으로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접근성 확대”

美재무장관 “비트코인 신규 매입 없어” 발언 후 예산 부담 없는 추가 확보는 검토

시진핑·푸틴 베이징 회동 “긴밀한 협력 관계”

트럼프, 연설 앞두고 건강 이상설 일축

이더리움 고래들 하루 동안 ETH 26만개 매수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 하루 만에 9만7000BTC 매도

메타플래닛, 비트코인 투자 위해 최대 5.2조원 규모 조달안 승인

메타플래닛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두나무 주최 UDC 2025, 세계 가상자산 리더들 집결…에릭 트럼프 특별 대담 진행

업비트

가상자산 약세…이번 달 미 고용지표·연준 회의 발표 주목

미국 증시 / 프리픽

인기뉴스

1

트럼프家 지원 WLFI 관련 프로젝트 중 어디에 주목할까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
2

월드리버티파이낸셜 코인으로 트럼프家 막대한 수익 전망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
3

두나무 주최 UDC 2025, 세계 가상자산 리더들 집결…에릭 트럼프 특별 대담 진행

업비트
4

온도 글로벌 마켓 3일 출시…100종 이상 토큰화 주식·ETF 거래지원

온도파이낸스(ONDO)
5

비트코인 단기 보유자 손실 구간 집입…WLFI 코인 출시에 따른 유동성 쏠림 예상

비트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