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미국, 아이폰 등 전자제품에 대한 중국 관세 면제에도 기업들엔 ‘돌이킬 수 없는 타격’

  • 스마트폰·반도체 등 전자제품 관세 면제…나머지 품목은 145% 관세 부과

미국 정부가 애플 아이폰을 비롯한 기술 하드웨어에 대해 중국산 수입품 관세를 유예했으나, 대부분의 미국 산업과 중소기업에는 이미 치명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CNBC가 4월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화되면서 미국 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국산 수입화물에 대한 주문이 취소되거나 아예 화물이 방치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해운물류 분석업체 시-인텔리전스 최고경영자 앨런 머피는 “중국의 가구 제조업체는 미국 수입업체들로부터의 주문이 완전히 끊겼으며, 장난감, 의류, 신발, 스포츠 용품도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세코 로지스틱스의 최고상업책임자 브라이언 버크는 “동남아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있었으나, 90일 관세 유예 조치 이후 다시 주문이 시작된 반면, 중국산 제품은 취소되고 있다”고 전했다. 올 USA의 앨런 베어 최고경영자는 “중국과 관련된 거의 모든 거래가 중단된 상태”라고 말했다.

145% 관세, 미중 무역 사실상 중단

미국 연방조세정책센터의 부회장 에리카 요크는 CNBC ‘디 익스체인지’에 출연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총 145%의 관세는 사실상 미중 무역 대부분을 중단시키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일부 대체 불가능한 품목은 그대로 수입될 수밖에 없지만, 대부분의 품목은 수입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기술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는 공급망 구조상 복잡한 기술제품의 생산이 다른 국가로 쉽게 이전될 수 없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머피는 “전자제품, 기계, 의료기기, 의약품 등은 고도의 기술과 자본이 요구돼 생산지 이전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미국의류신발협회 스티븐 라마르 최고경영자는 “이번 조치는 팬데믹 이후 가장 큰 공급망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높은 관세율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주문을 취소할 수밖에 없으며, 예측 불가능한 관세 정책으로 인해 비용 부담이 과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대체 공급처가 없는 중소기업은 즉각적인 매출 손실과 품절 사태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

덴마크의 통합 글로벌 물류기업 머스크(MAERSK)는 해상운송 예약 감소와 함께 중국 선박에 대한 건조비 부과 가능성으로 인해 북미 노선 전체에 걸쳐 큰 폭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예고했다. 머스크 측은 고객들에 “혼란이 몇 달이 걸릴 것이며, 그 동안 물류 혼잡과 운임 급등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생산지 이전·기존 재고 소진…중국 탈출 움직임

기술제품 생산업체들이 이미 동남아, 주로 베트남과 인도 등으로 생산지를 이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 내 재고를 우선 소진하려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밝혔다. 일부 업체는 유럽 시장으로 가격을 낮춰 판매하거나 생산라인을 중단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한편 중국 내 제조업체들은 미국 내 생산 이전을 거의 고려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최종 목표가 불분명하기 때문으로, 단순히 협상용 카드인지, 재산업화를 위한 장기 전략인지에 따라 투자 방향이 달라질 수있다.

머스크는 고객들에 “현 상황이 전례 없을 만큼 복잡하다”며, “재고를 줄이고 공급망에 유연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 eb@economybloc.com

└관련 뉴스

최신 뉴스📨

인기뉴스

1

RWA 특화 ‘만트라(OM)’ 코인, 90% 급락…프로젝트 측 “무분별한 강제 청산 탓” 해명

만트라(MANTRA)
2

트럼프 일가, NFT·밈코인·비트코인 채굴·스테이블코인까지 디지털자산 산업 전방위 진출

오피셜 트럼프(TRUMP)
3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앱 생태계 성장엔 건전한 철학 필수…펌프펀·루나·FTX는 나쁜 예”

비탈릭 부테린
4

트럼프 “반도체 관세 14일 말할 것…이란 및 우크라이나·러시아 협상 진전”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서명
5

만트라(OM) 코인 폭락 전 레이저디지털 연관 지갑 포함 17개 지갑서 대량 입금

만트라(MANTRA)

14일: 스택스(STX) 라이브 스트리밍
15일: 세이(SEI) 5556만 토큰 언락 (1.14%)
15일: 일드길드게임즈(YGG) LOL Land 출시
16일: 아비트럼(ARB) 9265만 토큰 언락 (2.01%)
🌐16일: 미국 소매판매 및 산업생산 지표 발표
17일: 옴니 네트워크(OMNI) 820만5000 토큰 언락 (44.98%)
🌐1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18일: 미국 증시 휴장(부활절)
18일: 트럼프(TRUMP) 4000만 토큰 언락 (20%)
18일: UXLINK 시즌 3 클레임 시작
18일: 패스트토큰(FTN) 2000만 토큰 언락
18일: 이뮤터블(IMX) 2452만 토큰 언락 (1.37%)
18일: UXLINK 3750만 토큰 언락

5월 7일: 이더리움(ETH) – 펙트라 업그레이드

*현지시간 기준
*해당일정은 연기/취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