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행정부 대중 관세 강화 영향…애플 시총 4790억달러 증발
11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대형 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현지시간으로 지난 7일 보고서를 통해 애플이 아이폰 생산을 미국으로 이전할 경우, 제조 비용이 최대 90%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BofA 애널리스트 왐시 모한은 “미국 내 인건비만으로도 아이폰 생산 비용이 약 25% 상승할 수 있다”며, “부품의 상당 부분은 여전히 중국에서 조립된 뒤 미국으로 수입될 것이고, 여기에 상호 관세가 적용될 경우 전체 비용이 90% 이상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겨냥해 무역 압박을 강화하는 가운데, 일부 국가에는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했지만,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율을 145%까지 인상했다. 중국 역시 미국산 제품에 8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 상황이다.
애플 주가는 관세 발표 후 현재까지 14% 하락했으며, 시가총액 약 4790억달러(약 694조원)가 증발한 수치다. 주가가 올해 들어 23% 이상 하락한 가운데,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로젠블랫증권은 지난주 보고서에서 “관세 부과는 애플 주가를 ‘급격하게’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했고,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스는 “관세 갈등은 애플에 ‘완전한 재앙’이 될 수 있다”며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다.
미국에서는 관세 우려로 인해 아이폰에 대한 사재기 현상도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모한은 “아이폰 최종 조립을 미국으로 이전하려면 해외에서 제조된 부품 및 중간재에 대한 관세 면제가 필요하지만, 현재로선 그 가능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관세 조치가 얼마나 지속될지 명확해지지 않는 한, 애플이 미국 생산 이전을 결정할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공급망 다변화는 계속될 것이며, 인도 등 다른 국가에서의 생산은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