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 매도세 심화…트럼프 관세 여파에 ‘안전자산’ 흔들

  •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 4.51%까지 급등…중국 등 매도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 조치가 발효된 4월 9일, 미국 국채 시장에서 대규모 매도세가 이어지며 금리가 급등했다. 투자자들이 기존의 ‘안전자산’으로 여겨졌던 미 국채에서 현금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국채 시장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이날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장중 한때 4.51%까지 상승했다가 4.42%에 거래되고 있다. 하루 만에 0.15%포인트 급등한 수치다. 30년물 금리는 장중 5%를 넘어서기도 했다.

벤 윌트셔 씨티그룹 금리 전략가는 “이번 매도세는 미국 국채가 더 이상 글로벌 채권시장의 안전판으로 간주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체제 전환 신호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국채 금리 인하를 정책 목표 중 하나로 내세워왔으나, 관세 정책으로 미국 행정부에 새로운 도전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미국의 채권 시장에 대한 투자자 신뢰가 약화되면서 향후 국채 발행 여건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식과 채권 가격이 대체로 반대로 움직이는 일반적인 흐름과 달리, 이날은 주식과 국채 모두에 매도세가 나타날 조짐을 보였다. 특히 미국 헤지펀드들이 대거 보유 중인 국채를 매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국채 시장도 영향을 받았다. 일본 10년물 국채 금리는 0.11%포인트 오른 1.38%까지 급등한 뒤 소폭 반락했다.

야르데니리서치의 에드 야르데니 매크로 전략가는 “주식과 채권 시장 모두 트럼프 행정부가 극도로 불안정한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며 “무역전쟁이 촉발한 긴장 속에 자본시장에서 무언가가 터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 재무부가 4월 8일 실시한 3년 만기 국채 입찰에서는 202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요를 기록했다. 이는 10일 예정된 390억달러 규모의 10년물 입찰, 11일의 220억달러 규모 30년물 입찰에도 그림자를 드리울 수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을 비롯한 주요 외국 보유국들이 보복 조치로 미 국채를 처분하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홍콩 BNP파리바 웰스 매니지먼트의 그레이스 탐 최고투자전략가는 “중국과 다른 국가들이 미국 국채를 ‘투매’하고 있다는 우려가 금리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고 밝혔다.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과 관련 협상, 보복 조치 가능성을 고려할 때, 단기적으로 채권 시장의 변동성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트럼프 “EU·한국·일본, 관세 낮추려 시장 개방 하려해”

트럼프 “관세 인내심 끝났다”…각국에 협상 압박 수위 높여

트럼프, 현재까지 총 25개국에 상호관세 부과 서한 발송

트럼프, EU·멕시코에 8월부터 30% 상호관세 부과

업비트, 칼데라(ERA)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빗썸, 칼데라(ERA) 코인 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엠블, 미국 덴버서 무수수료 택시 서비스 ‘타다’ 출시

플라스마, XPL 코인 퍼블릭 세일 진행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업비트

업비트, 칼데라(ERA)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이더리움 급등에 ‘알트코인 시즌’ 기대감↑…美 의회, 가상자산 법안 표결 변수

미국 비트코인

美 하원, 가상자산 법안 절차안 통과…사상 최장 10시간 표결 마무리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비트코인 현물 ETF

7/17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1조1030억원 순유입

인기뉴스

1

美 하원, 가상자산 법안 절차안 통과…사상 최장 10시간 표결 마무리

미국 비트코인
2

바이낸스, 칼데라(ERA) 코인 현물마켓 상장·HODLer 에어드랍 진행

바이낸스
3

美 스테이블코인 법안, 에테나 USDe 규제 압박 속 이더리움 상승세

4

빗썸, 칼데라(ERA) 코인 원화마켓 상장 예정

빗썸
5

빗썸, 칼데라(ERA) 코인 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빗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