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백악관은 현지 시간으로 4월 8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고율 관세를 비롯한 무역 정책에서 어떠한 연기나 유예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대통령은 관세를 연기하거나 유예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오전 무역팀과 회의를 갖고, 각국과의 맞춤형 무역협정 추진을 지시했다고 전했다. 브리핑에 따르면 무역 협상은 미 행정부의 스콧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오전 무역팀과 회의를 갖고, 각국과의 맞춤형 무역협정 추진을 지시했다고 전했다. 브리핑에 따르면 무역 협상은 미 행정부의 스콧 베센트, 제이미슨 그리어가 주도하며, 미국은 동맹국과 파트너 국가를 우선순위로 두고 관세 협상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인에게 유리한 협정을 추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중국이 협상에 나선다면 대통령은 관대한 태도로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보편적인 10% 일괄 관세는 예정대로 시행된다”며, 중국에 대한 추가 고율 관세 역시 4월 9일 자정부터 발효될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레빗 대변인은 “모든 국가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 수 있고, 미국은 모든 선택지를 열어두고 있다”고 덧붙였으며, “협상이 진행되는 와중에도 관세는 계속 발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아이폰 생산과 같은 제조업 회귀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위협에도 불구하고, 중국 경제의 회복력과 정책 대응 여력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리 총리는 4월 8일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과의 전화 통화에서 “중국은 부정적인 외부 충격을 완전히 상쇄할 수 있는 충분한 정책 수단을 갖고 있다”며 “2025년에도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서의 성장을 낙관한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 공식 발표에 따르면, 리 총리는 올해 중국의 거시경제 정책이 다양한 글로벌 불확실성을 충분히 고려해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경제의 건전성과 지속 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강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리창 총리는 시진핑 국가주석에 이어 중국 정부 내 서열 2위 인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