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물자산 기반 RWA 시장, 200억달러(약 29조원) 돌파 임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발표할 예정인 글로벌 무역 관세 정책을 앞두고,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시장 불확실성을 피하기 위해 스테이블코인과 실물자산 기반 토큰화(RWA) 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키고 있다.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플랫폼 인투더블록(IntoTheBlock)은 3월 31일 X(구 트위터) 게시글을 통해 “현재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 스테이블코인과 RWA 부문에 안정적 자금 유입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RWA는 부동산, 미술품, 금융상품 등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 토큰으로 전환한 자산으로, 최근 디지털 자산 시장 내 주목받고 있다.
스테이블코인과 RWA, ‘디지털 피난처’로 부상
인투더블록의 후안 펠리세르 수석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직후 경기 부양에 대한 기대가 있었지만, 무역 긴장과 지정학적 불확실성 증가로 투자자들의 관망 기조가 뚜렷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전 세계적으로 경제성장률 전망은 여전히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지만, 지난 수개월 간 전망치는 낮아진 상태”라며 “이 같은 분위기가 스테이블코인과 RWA로의 자금 이동을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RWA 시장 데이터 플랫폼 RWA.xyz에 따르면, 실물자산 기반 토큰화 시장 규모는 2월 3일 기준 누적 170억달러를 돌파했으며, 현재는 200억달러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일부 업계 전문가는 이 시장이 2025년 말까지 500억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트럼프 관세, 투자심리 위축 지속…비트코인 2개월 간 19% 하락
트럼프 대통령은 1월 20일 취임 직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신규 관세를 예고한 바 있으며, 4월 2일 발표에서는 주요 무역 상대국 전반을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제’ 적용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로 연간 1조2000억달러에 달하는 미국의 상품 무역 적자를 줄이고, 제조업 육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같은 무역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위험자산 전반의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다. 넥소(Nexo) 분석가 일리야 칼체프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과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시장의 위험선호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비트코인은 1월 취임 이후 2개월간 약 19% 하락해 8만2237달러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S&P500지수도 같은 기간 7% 이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시장 참가자들은 비트코인의 시세가 제한된 상황에서, 유동성과 접근성을 갖춘 RWA 시장이 글로벌 자산 시장(약 450조달러)의 일부를 흡수하며 대안 투자처로 부상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