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위 확산에 머스크, 강경 대응 예고…美 법무부는 ‘국내 테러’ 규정
일론 머스크가 전 세계 테슬라 전시장 앞에서 벌어진 시위를 조직한 인물들을 체포하고 기소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시위대는 머스크의 연방정부 예산 삭감 정책에 반대하며 ‘테슬라 주가 하락’을 유도하자는 운동을 벌였다.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에 따르면, 지난 3월 29일(현지시간) 약 200곳의 테슬라 전시장 앞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된 이번 시위는 ‘테슬라 테이크다운(Tesla Takedown)’이라는 명칭으로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에까지 기획됐다. 시위 주최 측은 테슬라 제품 불매, 주식 매도, 전시장 앞 시위 등을 통해 머스크를 압박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머스크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엑스(X, 구 트위터)를 통해 “폭력을 조장한 배후를 체포할 때”라며 시위 조직자와 후원자에 대한 법적 조치를 예고했다. “주요 복지 예산 삭감은 없었다. 부정 수급 방지를 ‘삭감’이라 부르는 것은 왜곡”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시위대는 뉴욕 시내에서 “메디케이드 삭감으로 사망”, “DOGE(정부효율부)에 물려 죽음”, “트럼프 지시에 머스크가 사회보장 삭감” 등의 문구가 적힌 종이를 들고 시위를 벌였다. 머스크는 이에 대해 “누군가의 죽음을 바라는 시위를 조직하는 건 불법”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법무부는 지난 3월 18일 성명을 통해 “테슬라 자산을 대상으로 한 일련의 공격은 명백한 국내 테러 행위”라며 일부 가해자에게 이미 테러 혐의로 최소 5년 이상의 형량이 적용됐다고 밝혔다. 또한 FBI는 최근 테슬라를 겨냥한 방화와 기물 파손이 잇따르고 있다며 전담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수사에 나섰다고 밝혔다.
시위와 관련해 테슬라 매장에는 나치 문양이 낙서되거나 차량에 방화가 시도되는 등 과격한 행동도 보고됐다. 머스크는 자신이 나치 경례를 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정치적 반대세력이 만든 날조”라고 반박했다.
머스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설치된 비공식 조직 ‘정부 효율부(DOGE)’를 이끌며 연방 예산 감축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제개발처(USAID) 등 주요 기관에 대한 예산 삭감이 추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