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미스트들, 무역 전쟁 우려 및 중앙은행 금 매입으로 금값 상승 전망.
- 씨티(Citi) 및 UBS, 금 목표가 상향 조정 (3,000달러/온스).
- 금 기반 암호화폐(PAXG, XAUT 등), 금값 상승세에 동반 강세.
주요 금융 기관들이 무역 전쟁 우려 심화와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증가로 인해 금 가격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8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번 주 씨티(Citi)와 UBS 은행 이코노미스트들은 지정학적 긴장과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시장이 압박을 받으면서 귀금속의 강세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금 가격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금 관련 암호화폐인 팍스골드(PAXG) 및 테더골드(XAUT)와 같은 토큰들이 이에 따라 비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고에 보관된 실물 금으로 뒷받침되는 해당 토큰들은 불확실성 속 전체 암호화폐 시장보다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인베스팅닷컴 보고서에 따르면, 씨티는 단기 금값을 온스당 3,000달러로 조정하고 올해 평균 전망치를 2,800달러에서 2,9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이러한 인상의 배경에는 위에서 언급한 요인뿐만 아니라 세계 성장 둔화 우려로 인해 귀금속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편, UBS는 12개월 금 목표가를 2,850달러에서 3,000달러로 상향 조정했으며, 올해 들어 약 9% 상승한 후 현재 2,86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마크 헤펠레(Mark Haefele)가 이끄는 UBS 전략가들은 “가치 저장 수단이자 불확실성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서 금의 지속적인 매력은 다시 한번 입증되었다”고 말했다. 한편, 씨티는 “무역 전쟁과 지정학적 긴장이 준비 자산 다변화/탈달러화 추세를 강화하고 신흥 시장(EM)에서 금 수요를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