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역 은행 위기가 확산되는 가운데 워렌 버핏(Warren Buffett)이 최근 조 바이든 대통령 행정부의 고위 관리들과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버핏의 역할, 아직 불분명
실리콘밸리뱅크(SVB), 시그니처뱅크, 실버게이트캐피털이 잇따라 붕괴한 가운데, 버핏이 이 위기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버핏은 과거에도 금융 위기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해 부실 기업에 자금을 지원한 전례가 있다.
- 2011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주가가 폭락한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 자본 투자
- 2008년, 리먼 브러더스 파산 이후 골드만삭스(Goldman Sachs)에 50억 달러(약 6조 7500억 원) 규모의 지원
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미국 지역 은행 위기에서 버핏이 정부 차원의 지원에 직접 개입할지는 미지수다.
정부와 은행권, 위기 대응 나서
미국 규제 당국은 지난 주말, 부실 은행 고객들의 무보험 예금을 전액 보장하겠다는 긴급 조치를 발표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정치적 논란을 우려해 정부 직접 지출을 최소화하려는 입장이다.
대형 은행들도 민간 차원에서 퍼스트리퍼블릭은행(First Republic Bank)에 300억 달러(약 40조 원)를 예치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위기 대응에 나섰다.
규제 당국은 “민간 은행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버핏의 개입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금융권과 정부는 위기 해결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