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래소 OSL 임원, 홍콩 “긍정적 시장 분위기 속 거래량 및 자금 유입 증가 기대”
- “미국과 홍콩 주식 시장 크기 비교시 가상화폐 ETF 투자 비율 비슷해”
- 홍콩 가상화폐 ETF, 4560 BTC, 16280 ETH 보유
24일 더블록에 따르면, 홍콩의 가상화폐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2025년에 큰 폭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홍콩 암호화폐 거래소 OSL의 라이언 밀러 전무이사는 24일, 긍정적인 글로벌 및 현지 시장 분위기 속에서 홍콩 ETF의 거래량과 자금 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홍콩은 미국 비트코인 ETF 출시 성공 이후 2024년 4월 6개의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현물 ETF를 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가상화폐 현물 ETF를 상장한 지역이지만, 시장 반응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12월 11일 기준 홍콩 비트코인 현물 ETF는 4,560 BTC (약 4억 4,460만 달러, 약 6,400억 원), 이더리움 ETF는 16,280 ETH (약 5,960만 달러, 약 834억 원) 규모에 그쳤다.
밀러 전무이사는 “단일 수치나 요인으로 상품의 성과를 판단해서는 안 된다”며 “주식 시장 대비 암호화폐 ETF 비율을 고려하면 미국과 홍콩의 ETF는 유사한 성과를 보였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가상화폐 현물 ETF 시장 규모는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 시가총액 합계의 약 0.019% 이며, 홍콩의 경우 항셍 지수 시가총액의 약 0.023%라고 주장했다.
또한 “차기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암호화폐 친화적인 정책과 금리 인하가 글로벌 시장 분위기와 암호화폐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홍콩 현물 암호화폐 ETF는 12월 6일, 사상 최고치인 5,800만 달러(약 812억 원)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 재선 이후 평균 거래량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홍콩 정부는 헤지펀드와 사모펀드의 암호화폐 투자 이익에 대한 세금 면제 등 암호화폐 친화적인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밀러 전무이사는 “지속적인 규제 지원과 투자자 관심 증가로 홍콩 암호화폐 ETF는 진화하는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전망했다.
OSL은 홍콩 가상화폐 현물 ETF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최대 수탁기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