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스팀(STEEM)

스팀(STEEM)
STEEM

가상자산스팀 (Steem)
심볼명STEEM
기반자체 메인넷(스팀)
발행사Steemit Inc.
주요인물Ned Scott (공동 설립자)
Dan Larimer (공동 설립자)
저스틴 선 (트론 창립자)
발행일2016년 4월
발행한도
발행방식DPoS 방식
카테고리탈중앙화 소셜 미디어
테마콘텐츠 보상,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특징✅스팀잇 플랫폼에서 콘텐츠 평가에 따라 STEEM 지급
✅스팀파워(SP), 스팀달러(SBD) 멀티토큰 생태계 구성
✅블록체인 기술 활용, 콘텐츠 투명성과 저작권 강화
✅콘텐츠 작성, 공유로 보상 구조
정보➡️스팀(STEEM)-코인마켓캡
➡️스팀(STEEM)-코인게코

1. 스팀(Steem)이란?

1-1. 소셜 미디어 및 커뮤니티 플랫폼 위한 분산형 네트워크

스팀(Steem) 블록체인은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분산형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소셜 미디어와 커뮤니티 플랫폼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활동과 기여를 보상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대표적인 사용 사례로는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인 스팀잇(Steemit)이 있습니다.

스팀 블록체인은 사용자가 작성한 게시글, 댓글, 투표 등의 활동을 기록하고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암호화폐로 보상을 지급합니다. 스팀 블록체인의 기본 암호화폐는 스팀(Steem)입니다.

스팀 블록체인은 높은 처리 속도와 낮은 거래 수수료를 특징으로 합니다. 사용자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콘텐츠 생성자와 소비자가 서로 이익을 공유하는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개발자는 스팀 블록체인을 활용해 자체적으로 소셜 미디어,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스팀 블록체인의 핵심은 콘텐츠를 통해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투명하고 공정하게 분배하는 것입니다. 사용자 간의 적극적인 참여와 커뮤니티의 성장을 독려합니다.

1-2. 스팀 개발 역사

출시 및 초기 발전 (2016)

스팀 블록체인은 2016년 3월 공식 출시되었습니다. 사용자가 콘텐츠를 작성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소셜 미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스팀잇 플랫폼 런칭 (2016)

스팀 블록체인과 함께 스팀잇 플랫폼이 런칭되었습니다. 사용자가 콘텐츠를 작성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 생태계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었습니다.

스팀파워(SP) 및 스팀달러(SBD) 도입 (2016)

스팀 블록체인은 스팀파워와 스팀달러라는 두 가지 주요 토큰을 도입했습니다. 사용자가 콘텐츠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안정적인 거래 수단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트론의 인수 (2020)

2020년, 트론의 저스틴 선이 스팀잇 재단을 인수하면서 큰 논란이 일어났습니다. 스팀 블록체인의 거버넌스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스팀잇 인큐베이션 펀드”라는 대량의 스테이킹된 토큰(일명 네드 보관 스테이크)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커뮤니티는 이를 통해 트론 재단과 저스틴 선이 네트워크의 탈중앙화를 훼손할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트론의 인수 과정에서 스팀 커뮤니티의 반발이 있었습니다. 일부 증인들은 소프트포크를 통해 트론이 보유한 6,500만 STEEM을 동결시키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 사건은 DPoS(위임 지분 증명)의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1-3. 커뮤니티 반발과 하이브(Hive) 하드포크 (2020)

커뮤니티는 이를 통해 트론 재단과 저스틴 선이 네트워크의 탈중앙화를 훼손할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2020년 2월, 스팀 커뮤니티는 저스틴 선이 거래소(바이낸스, 후오비 등)와 협력하여 정치적 투표 공격을 감행했다고 주장했다. 거래소들이 고객의 스테이킹 토큰을 사용하여 자신들에게 유리한 증인(대표자)을 선출하고, 네트워크 통제권을 장악하려 한 것이다.

커뮤니티는 이를 탈중앙화에 반하는 행동으로 간주하고 즉각 반발했습니다.

2020년 3월, 스팀 커뮤니티는 블록체인을 하드포크하여 하이브(Hive)라는 새로운 블록체인을 출범시켰습니다.

하이브는 기존 스팀 네트워크의 커뮤니티 중심 철학을 유지하면서, 저스틴 선과 트론 재단의 개입을 배제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하드포크 과정에서 스팀에서 활동했던 사용자들의 계정을 그대로 복제했으나, 저스틴 선 및 그와 연관된 계정들은 배제(토큰 몰수)했습니다.

스팀 커뮤니티와 하이브 커뮤니티의 분열

이후 스팀과 하이브는 독립적으로 운영되었으며, 두 블록체인은 각각의 커뮤니티와 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 하이브는 독립적인 블록체인으로 자리 잡았으나, 스팀 블록체인과 커뮤니티는 분열되었습니다.


2. 스팀(STEEM) 코인이란?

스팀(STEEM)
스팀(STEEM)

스팀은 멀티토큰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으며, 스팀(STEEM), 스팀파워(SP), 스팀달러(SBD) 세 가지 코인을 사용합니다. 세 가지 코인은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스팀 생태계를 구성합니다.

2-1. 스팀(STEEM)

  • 콘텐츠 보상: 스팀잇 플랫폼에서 게시물 작성, 댓글, 투표 등의 활동으로 STEEM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거래 수수료: 플랫폼 내에서 거래 수수료로 사용됩니다.
  • 스테이킹: SP로 전환하여 스테이킹하고 보상을 통해 추가 STEEM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활성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와 콘텐츠 플랫폼의 사용자 참여를 유도합니다.

2-2. 스팀파워(SP)

  • 영향력 증대: SP는 사용자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보유량에 따라 게시물이나 댓글의 가치에 영향을 미칩니다.
  • 투표 권한: SP 보유자는 플랫폼 내 중요한 결정에 대한 투표 권한을 갖습니다.
  • 보상 수익: SP를 통해 매년 새로운 STEEM의 일부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2-3. 스팀달러(SBD)

  • 안정적인 거래 수단: 스팀 플랫폼 내에서 안정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미국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으로 설계되었습니다.
  • 보상 지급: 스팀잇 플랫폼에서 콘텐츠 제작자에게 수익을 지급하는 데 사용됩니다.
  • 환전 기능: STEEM으로 변환 가능하며, 외부 거래소에서도 거래할 수 있습니다.


3. 스팀(STEEM) 특징

3-1. 스팀잇

스팀잇은 스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소셜 미디어 플랫폼입니다. 사용자는 스팀잇에서 콘텐츠를 게시하고 다른 사용자의 콘텐츠에 투표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콘텐츠 보상 시스템: 스팀잇은 사용자가 게시물을 작성하고 다른 사용자로부터 투표(업보트)를 받으면 암호화폐인 STEEM으로 보상을 지급합니다.
  • 커뮤니티 기반 필터링: 스팀잇에서는 콘텐츠의 품질을 커뮤니티가 직접 평가하고 관리합니다. 사용자는 서로의 콘텐츠를 검토하고 추천합니다.
  • 영향력에 따른 랭킹 시스템: 스팀파워(SP)를 많이 보유한 사용자의 투표는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사용자는 자신의 스팀파워를 늘리기 위해 활동적으로 참여하게 됩니다.
  • 투명한 데이터 관리: 모든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공개됩니다. 사용자는 콘텐츠의 수정 및 삭제가 불가능하여 신중하게 게시물을 작성하게 됩니다.
  • 개방형 플랫폼: 스팀잇은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개발자가 쉽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기존 앱을 스팀잇 기반으로 이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 탈중앙화된 운영: 스팀잇은 중앙 집중형 플랫폼과 달리 사용자가 직접 플랫폼의 운영 및 발전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3-2. dCity

dCity는 스팀 블록체인 기반 도시 건설 및 관리 시뮬레이션 게임입니다. 사용자는 가상 도시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 블록체인 기술 활용: 스팀 블록체인 기반으로 사용자 자산과 게임 내 자산의 거래가 안전하고 투명하게 이루어집니다.
  • 자산 소유권: 사용자는 게임 내에서 건물, 도로, 공원 등의 자산을 소유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각 자산은 NFT 형태로 존재합니다.
  • 경제 시스템: dCity는 사용자가 자원을 생산하고 거래하는 경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자원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도시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 커뮤니티 참여: 게임은 커뮤니티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사용자는 서로 협력하거나 경쟁하여 도시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 게임 내 이벤트와 업데이트: dCity는 정기적으로 이벤트와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합니다.
  • 전략적 요소: 도시 건설과 관리에 있어 전략적 사고가 요구됩니다. 사용자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도시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해야 합니다.

3-4. 스플린터랜즈(Splinterlands)

스팀 블록체인 기반의 카드 수집 및 거래 게임입니다. (이전 스팀몬스터) 사용자는 카드를 수집하고 거래하며, 게임 내에서 DeFi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팀에서 가장 인기있는 게임 중 하나이며,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 블록체인 기술 활용: 모든 카드와 게임 내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카드의 소유권과 진위성을 보장합니다. 플레이어들이 자신의 카드를 실제로 소유하고 거래할 수 있게 합니다.
  • 카드 및 덱 구성: 스플린터랜즈는 불(FIRE), 물(WATER), 대지(EARTH), 생명(LIFE), 죽음(DEATH), 용(DRAGON)의 6가지 속성을 가진 카드들로 구성됩니다. 각 카드는 고유한 능력과 특성을 가지고 있어, 플레이어는 이를 조합하여 전략적인 덱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게임 플레이: 플레이어는 소환사 카드 1장과 몬스터 카드 최대 6장을 선택하여 전투를 시작합니다. 전투는 자동으로 진행되며, 각 카드는 공격 및 방어 역할을 수행합니다. 게임의 룰은 매번 달라지므로, 다양한 전략을 요구합니다.
  • 보상 시스템: 게임에서 승리하면 DEC(Dark Energy Crystals)라는 게임 내 통화나 희귀 카드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DEC는 스팀 엔진 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이를 통해 실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 커뮤니티 참여: 스플린터랜즈는 커뮤니티 중심의 운영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플레이어들은 게임 개발 과정에 의견을 제시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수익 창출 가능성: 스플린터랜즈는 플레이어들이 게임을 통해 실제 가치를 지닌 자산을 얻고 거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는 P2E(Play-to-Earn) 모델로, 사용자들이 게임을 즐기면서 동시에 경제적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 다양한 게임 모드: 정규 경기 외에도 토너먼트와 일일 퀘스트 등 다양한 게임 모드가 제공되어, 플레이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3-5. 기타 특징

스팀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사용자들이 더욱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기여합니다.

  • 위임 지분 증명(DPoS): 스팀 블록체인은 위임 지분 증명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사용자는 스팀파워(SP)를 기반으로 증인(witness)을 선택하고, 증인은 블록을 생성하며 네트워크의 안전성을 유지합니다. DPoS는 빠른 거래 속도를 가능하게 합니다.
  • 빠른 거래 속도: 스팀 블록체인은 초당 수천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으며, 평균 3초 이내에 거래가 완료됩니다.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보상 및 거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수수료 없음: 스팀 블록체인은 거래 수수료가 없습니다. 사용자가 콘텐츠를 자유롭게 게시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 탈중앙화된 운영: 스팀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식 관리 없이 운영됩니다. 모든 데이터는 분산 원장에 저장됩니다. 사용자에게 더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고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합니다.
  • 투명성과 보안성: 모든 거래 기록이 블록체인에 공개적으로 저장됩니다. 분산형 네트워크 구조로 인해 단일 실패점이 존재하지 않아 보안성이 높습니다.
  • 커뮤니티 기반 운영: 스팀 블록체인은 사용자 참여를 통해 운영됩니다. 콘텐츠의 평가와 보상 시스템이 커뮤니티에 의해 결정됩니다. 사용자가 플랫폼 발전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4. 스팀(STEEM) 코인 과제와 전망

스팀(STEEM)
스팀(STEEM)

스팀은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 콘텐츠 제작자에게 보상을 제공하고 탈중앙화된 환경을 구축하여 기존 SNS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합니다.

스팀은 Web3 시대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스팀의 미래는 여전히 불확실하며, 다음과 같은 과제와 기회에 직면해 있습니다. 지속적인 개발과 발전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과제

  • 경쟁 심화: 스팀은 하이브(Hive)와의 경쟁, 새로운 Web3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등장 등 치열한 경쟁 환경에 놓여 있습니다.
  • 플랫폼 활성화: 스팀잇 사용자 감소, 콘텐츠 생성 및 참여 저조 등 플랫폼 활성화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 수익 모델 개선: 스팀 생태계 참여자들의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위한 새로운 수익 모델 개발이 필요합니다.
  • 기술 발전: 확장성, 보안, 사용자 편의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

기회

  • Web3 소셜 미디어 성장: Web3 및 탈중앙화 소셜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스팀은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 콘텐츠 제작 환경 개선: 스팀은 콘텐츠 제작자에게 공정한 보상을 제공하고 검열 없는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플랫폼으로서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 커뮤니티 주도 개발: 스팀 커뮤니티는 탈중앙화된 거버넌스 시스템을 통해 스팀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관련정보


5. 스팀(STEEM) 보고서

거래소바로가기
빗썸상장검토보고서


6. 스팀(STEEM) 상장 거래소

국내 거래소상장 정보시세·거래 페이지
업비트상장STEEM/KRW
빗썸상장STEEM/KRW
코인원비상장
코빗비상장
해외 거래소상장 정보시세·거래 페이지
바이낸스상장STEEM/USDT
코인베이스비상장
OKX비상장
바이비트비상장
OKX 거래소 회원가입 링크
오케이엑스

🔗OKX 거래소 – 추천코드 회원가입 바로가기

  • 해당 링크 가입 시 최대 수수료 할인·바이백 혜택이 적용됩니다.


7. 스팀 공식 채널

채널
공식사이트
익스플로러
백서
X(트위터)
레딧
깃허브


8. 스팀 공식 X(트위터)


📑본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나, 제공된 정보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헤당 자료는 어떠한 형태로든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하는 것이 아니며,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입니다. 

✉ eb@economybloc.com

└관련 뉴스

최신 뉴스📨

인기뉴스🚀

1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와 관세 협상 예고

도널드 트럼프
2

리플(XRP) 코인, 에스크로 지갑에서 4억개 언락

리플(XRP)
3

트럼프家 코인 프로젝트 WLFI, 암호화폐 투자 21% 손실… 트럼프 관세 여파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
4

중국, 트럼프 관세에 미·중 1단계 무역합의 복원 제안… 추가 투자·위안화 평가절하 자제 등 포함

중국
5

美 디지털자산 정책 책임자 ‘데이비드 삭스’, “트럼프 행정부의 디지털자산 전략 발표” 예정

데이비드 O. 삭스 (David Sacks) - Zenefits

3일: 오닉스코인(XCN) 주요 업데이트 공개
3일: 플레어(FLR) 데이터 커넥터 메인넷 투표 진행
3일: NIL 메인넷 출시
3일: 텐셋(10SET) 메트로폴리스 월드 IDO 진행
4일: PEP 반감기(블록 보상 62,500 → 31,250 PEP)
4일: 월렛커넥트토큰(WCT) 토큰 판매 진행
4일: 스텔라(XLM): 4분기 정기 리뷰
4일: 메타플렉스(MPLX) MIP-01 투표 종료
5일: XDC 8억4,118만 토큰 언락(5.63%)
5일: 카스파(KAS) 1억7201만 토큰 언락(0.67%)
5일: 보바 네트워크(BOBA) 홀로세인 하드포크 진행
🌐5일: 한국 CPI
6일: 온도 서밋 2025 개최
6일: 슈퍼레어(RARE) 시즌 III 에어드롭 종료
6일: MAVIA 1,304만 토큰 언락(41.35%)
6일: 퍼퍼(PUFFER) 2차 투표 에폭 진행
🌐7일: 미국 1월 비농업부문 고용, 1월 실업률
7일: 라디언트 캐피털(RDNT) RFP-47 투표 진행
9일: 무브먼트(MOVE) 5,000만 토큰 언락(2.17%)

*현지시간 기준
*해당일정은 연기/취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