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 마스크네트워크 (Mask Network) |
심볼명 | MASK |
기반 | 이더리움 |
개발사 | Mask Network |
주요인물 | Suji Yan (창립자) |
발행일 | 2021년 2월 |
발행한도 | 100,000,000 MASK |
초기발행 | ITO(Initial Twitter Offering), Balancer LBP 커뮤니티 에어드롭 등을 통해 배포됨 |
카테고리 | Web3, SocialFi, Privacy |
테마 | 탈중앙화 소셜미디어, Web2와 Web3 연결 |
특징 | ✅Web2, Web3 연결하는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기존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암호화된 메시지 전송 ✅탈중앙화 스토리지 이용, DeFi 기능 활용 등 지원 ✅ITO(Initial Twitter Offering)를 통한 토큰 판매 |
정보 | ➡️마스크네트워크(MASK) – 코인마켓캡 ➡️마스크네트워크(MASK) – 코인게코 |
목차
Toggle1. 마스크 네트워크(Mask Network)란?
웹2.0과 웹3.0을 연결하는 탈중앙화 소셜 미디어 환경 구축
마스크 네트워크(Mask Network)는 2019년 7월 수지 얀(Suji Yan)이 설립했습니다. 수지 얀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사회적 자유를 지지하기 위해 디멘션(Dimension)을 설립하고 인터넷에서 개인 정보 보호 활동을 이어왔습니다.
마스크 네트워크는 기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웹3 기술을 접목해 웹 2.0과 웹 3.0을 연결하는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기반의 탈중앙화된 소셜 미디어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웹3 기술로 데이터 분산 및 개인 정보 보호 강화
기존 인터넷 환경에서는 특정 기업이 데이터를 독점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최근에는 데이터를 분산시켜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웹3 개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마스크 네트워크는 기존 SNS 메시지를 암호화해 전송하는 기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탈중앙화 금융(DeFi), NFT 거래 등 다양한 블록체인 기능 제공
마스크 네트워크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탈중앙화 금융(DeFi), NFT 거래, 암호화 메시징 등 다양한 블록체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웹3 기술을 기존 SNS에 통합해 사용자에게 탈중앙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인 정보를 보호합니다.
2. 마스크(MASK) 코인이란?
MASK 토큰은 마스크 네트워크 플랫폼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웹3 생태계와 소셜 미디어 통합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마스크 네트워크 생태계의 핵심 요소로서 거버넌스 참여, 프로토콜 인센티브 제공, 프리미엄 기능 활성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사용자는 MASK 토큰을 통해 웹2 플랫폼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웹3 기술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MaskDAO 거버넌스
MASK는 MaskDAO의 거버넌스 토큰으로 사용됩니다. 마스크 네트워크는 탈중앙화 자율 조직(DAO) 구조를 통해 사용자와 커뮤니티 주도로 운영됩니다. MASK 토큰 보유자는 플랫폼 운영 및 생태계 발전에 대한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제안된 프로젝트나 정책에 투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토큰 스테이킹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 인센티브
마스크 네트워크 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MASK 토큰이 보상으로 지급됩니다. 탈중앙화 애플릿(DApplet) 사용, NFT 거래 등의 활동이 이에 포함됩니다.
프리미엄 기능
MASK 토큰은 마스크 네트워크의 고급 기능(예: 크로스체인 스마트 월렛, 소셜 프로필 등)을 사용하는 데 필요합니다. 향후 Mask 2.0 업데이트에서 추가적인 프리미엄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입니다.
탈중앙화 애플릿(DApplet) 개발 지원
DApplets을 마스크 네트워크 생태계에서 실행하려면 MASK 토큰을 스테이킹해야 합니다. 이는 개발자가 마스크 네트워크 플랫폼에서 새로운 웹3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도록 장려합니다.
다양한 블록체인 지원
이더리움 외에도 BNB 스마트 체인, 폴리곤 등 여러 블록체인을 지원하여 크로스체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3. 마스크네트워크 특징
3-1. SNS 메시지 암호화 기능 제공
마스크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기존 SNS인 X(구 트위터)와 페이스북에서 암호화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PC에서는 크롬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으로 마스크 네트워크를 추가하고, 스마트폰에서는 마스크 네트워크 앱을 다운로드하면 사용 가능합니다.
X에서 게시글 작성 시 마스크 네트워크 버튼이 표시됩니다. 버튼을 클릭하여 게시글을 작성하면 암호화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게시글 공개 범위는 다음 3가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전체 공개
- 나만 보기
- 선택한 연락처에만 공개
전체 공개를 선택하면 마스크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가 게시글을 볼 수 있습니다. 암호화된 메시지는 다른 사용자는 물론 SNS 운영 회사도 내용을 볼 수 없습니다.
3-2. SNS에서 암호화폐 거래 가능
마스크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기존 SNS에서 암호화폐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거래는 탈중앙화 거래소(DEX)와의 연동을 통해 구현된 기능입니다. DEX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관리자 없이 사용자 간 직접 암호화폐 거래를 지원하는 거래소입니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 내에서 ERC-20 토큰 및 NFT를 거래하거나 스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암호화페 거래시 Uniswap, SushiSwap, Bancor과 같은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환율이 표시되므로 가격을 비교하며 거래할 수 있습니다.
3-3. 탈중앙화 스토리지
X(구 트위터)와 페이스북에서는 이미지나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공유할 수 있지만, 공유 가능한 파일 형식에 제한이 있습니다. 마스크 네트워크는 탈중앙화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PDF 등 SNS에서 공유하기 어려운 파일도 사용자끼리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마스크 네트워크는 탈중앙화 스토리지를 통해 SNS에서 파일 공유 기능을 확장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높입니다.
- 용량 제한 없음: 대용량 파일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파일 형식 지원: 이미지, 동영상, PDF, 문서 등 다양한 파일 형식을 지원합니다.
- 보안: 업로드된 파일은 암호화되어 안전하게 저장됩니다.
- 접근 제어: 파일 접근 권한을 설정하여 특정 사용자만 볼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습니다.
3-4.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s)
마스크 네트워크는 기존 소셜 미디어 플랫폼(예: X, 페이스북)에 웹3 기능을 통합하여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사용자는 DeFi 서비스(스테이킹, 유동성 공급 등), NFT 마켓플레이스, DAO 참여 등을 소셜 미디어 인터페이스 내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로 이동할 필요 없이 다양한 웹 3.0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3-5. 개인 정보 보호와 보안 기능
X(구 트위터), 페이스북 등 기존 SNS는 편리하지만 개인 정보가 기업에 집중되어 유출 및 판매 위험이 존재합니다. 마스크 네트워크는 기존 SNS에 웹3 기술을 적용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SNS 메시지를 암호화해 송수신함으로써 개인 정보를 보호하면서 기존 SNS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탈중앙화 SNS와 차별화된 접근 방식
마스크 네트워크는 탈중앙화 SNS와는 다른 방식으로 문제 해결을 시도합니다. 고급 암호화 기술과 탈중앙화 스토리지를 활용해 소셜 미디어 사용자에게 강력한 프라이버시와 보안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데이터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으며, 검열 없이 안전하게 디지털 활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마스크 네트워크의 주요 기술
- 암호화 방식: Elliptic Curve Integrated Encryption Scheme (ECIES)와 AES-256 암호화를 결합해 강력한 보안을 제공합니다.
- IPFS 통합: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와 같은 분산형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활용해 데이터를 저장하며, 검열 저항성과 데이터 보안을 강화합니다.
- 중앙 서버 의존성 제거: 마스크 네트워크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API나 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ShadowDOM 기술을 사용해 플랫폼이 Mask 확장을 감지하지 못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탈중앙화 신원 관리(DID): 사용자가 자신의 디지털 신원을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익명성을 유지하거나 다른 신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ID를 통해 개인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스텔스 주소(Stealth Address): 각 거래마다 일회용 주소를 생성해 거래 내역이 특정 사용자와 연결되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s, zk-SNARKs): 거래의 유효성을 증명하면서도 거래 세부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기술로,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강화합니다.
- 링 서명(Ring Signatures): 거래 서명을 그룹 내 익명의 사용자 중 한 명이 수행하도록 하여 송신자의 신원을 숨깁니다.
- SHA-3 해시 알고리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SHA-3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 탈중앙화 네트워크: 중앙화된 단일 제어 지점이 없어 시스템 장애나 공격에 대한 저항성이 높습니다.
3-6. ITO를 통한 자금 조달
마스크 네트워크는 X(구 트위터)를 이용한 ITO(Initial Twitter Offering)라는 자금 조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ITO는 X에서 토큰 판매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입니다. 암호화폐 자금 조달 방식으로는 기존에 거래소를 통한 ICO(Initial Coin Offering)와 DEX를 통한 IDO(Initial DEX Offering)가 사용되었습니다.
마스크 네트워크는 암호화폐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모이는 기존 SNS에 주목하여 X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ITO를 사용자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4. 마스크네트워크 과제/전망
4-1. SNS 개인 정보 보호 인식 강화
최근 기업들의 개인 정보 유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정보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SNS를 포함한 여러 서비스 이용 시 이름, 주소 등 개인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하지만 데이터 소유권을 분산화하는 웹3 환경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직접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 사이버 공격을 받더라도 개인 정보 유출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기존 SNS에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은 낮지만, 웹3 기술 발전과 함께 정보 관리 인식이 높아지면 마스크 네트워크의 기능이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4-2. 탈중앙화 SNS의 보급
일론 머스크의 X(구 트위터) 인수 후 회사명 변경, 유료 구독 도입, “좋아요” 비공개 등 새로운 정책이 시행되면서 일부 사용자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X의 대안으로 탈중앙화 SNS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탈중앙화 SNS는 특정 관리자가 없고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SNS입니다. 대표적인 탈중앙화 SNS로는 트위터 창업자 잭 도시가 설립한 블루스카이(Bluesky)와 서버별로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는 마스토돈(Mastodon) 등이 있습니다.
탈중앙화 SNS 확산, 마스크 네트워크에 미칠 영향은?
탈중앙화 SNS가 확산되면 기존 SNS 사용자 이탈이 예상됩니다. 이는 기존 SNS에 웹3 기술을 접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스크 네트워크에는 좋지 않은 상황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SNS에 남는 사용자도 상당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스크 네트워크가 어떤 전략을 통해 사용자를 유지하고 성장할지 주목됩니다.
4-3. 마스트 네트워크 생태계
마스크 네트워크의 주요 파트너는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투자자, 연구 기관과 협력하여 Web3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및 프로토콜 파트너
- 루프링(Loopring): 2021년 2월 파트너십 체결. 탈중앙화 기술, 특히 레이어 2 솔루션을 활용한 Red Packet 기능을 개발해 네트워크 속도를 높이고 거래 비용을 줄였습니다.
- 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 NEAR 지갑 통합 및 NEAR 기반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협력을 통해 웹3 기술 확장을 지원했습니다.
- 미러 프로토콜(Mirror Protocol): 2021년 1월 파트너십 체결. 트위터에서 가격 차트를 확인하고 mAssets(합성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습니다.
- 코이 네트워크(Koii Network): 분산형 브리지 구축 및 소셜 미디어 광고 수익화를 목표로 협력하여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사용자 중심의 소셜 미디어 경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TON (The Open Network): 텔레그램 창립자들이 설계한 PoS 블록체인 TON과 협력하여 마스크 네트워크 생태계의 소셜 프로토콜 및 애플리케이션 통합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투자 및 금융 파트너
- DWF Labs: 500만 달러(약 70억 원) 규모의 MASK 토큰 투자를 통해 마스크 네트워크의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개발과 웹3 접근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HashKey, Hash Global, Digital Currency Group (DCG): 초기 투자자로 참여해 마스크 네트워크의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학술 및 연구 기관
- MEDLab (Media Economies Design Lab):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캠퍼스와 함께 오픈 소셜 인큐베이터를 설립하여 탈중앙화 소셜 미디어 커뮤니티와 혁신적인 온라인 경제를 육성하고 있습니다.
커뮤니티 및 소셜 네트워크
- 블루스카이 프로토콜(Bluesky Protocol): 트위터 공동 창립자인 잭 도시가 설립한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초기 멤버로 참여하며 마스토돈(Mastodon)과 같은 분산형 소셜 네트워크를 지원합니다.
마스크 네트워크는 다양한 기술적, 재정적, 학술적 파트너십을 통해 웹3 생태계에서 데이터 프라이버시, 사용자 중심 경험, 탈중앙화 소셜 미디어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웹2와 웹3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4-4. 마스크네트워크 문제점
플랫폼 의존성
마스크 네트워크의 기능은 기존 소셜 미디어 플랫폼(예: X, Facebook 등)에 크게 의존합니다. 이러한 플랫폼이 정책을 변경하거나 마스크 네트워크의 기능을 제한할 경우, 프로젝트의 사용성과 생태계가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접근성과 복잡성
Web3 기술과 Web2 플랫폼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기술적 복잡성이 존재합니다. 암호화폐 지갑 생성, 메시지 암호화, DeFi 참여 등은 블록체인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시장 경쟁
마스크 네트워크는 Web3 소셜 미디어 솔루션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Lens Protocol, DeSo(Decentralized Social) 등과 같은 강력한 경쟁자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경쟁 속에서 마스크 네트워크가 독창적인 가치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4-5. 마스크네트워크(MASK) 보고서
거래소 | 바로가기 |
빗썸 | 가상자산 검토보고서 |
코인원 | 가상자산 설명서 |
5. 마스크네트워크(MASK) 상장 거래소
- 해당 링크 가입 시 최대 수수료 할인·바이백 혜택이 적용됩니다.
6. 마스크네트워크 공식 채널
7. 마스크네트워크 공식 X(트위터)
📑본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나, 제공된 정보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헤당 자료는 어떠한 형태로든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하는 것이 아니며,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