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대형 연금·투자 관리사 LGIM, 블록체인 펀드 토큰화 검토

LGIM
LGIM

21일 더블록에 따르면, 영국 연금·투자 관리사 리갈 앤 제너럴(L&G)의 투자 부문인 LGIM(리갈 앤 제너럴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이 블록체인을 활용한 펀드 토큰화를 검토한다. 1조 1,400억 파운드(약 2,074조 원)의 자산을 운용하는 세계 최대 규모 투자회사 LGIM은 펀드 산업 디지털화를 통해 효율성 향상, 비용 절감, 다양한 투자자에게 투자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한다.

LGIM의 글로벌 트레이딩 책임자 에드윅스는 “LGIM 유동성 펀드를 토큰화된 형식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며 “펀드 산업의 디지털화는 효율성 향상, 비용 절감, 광범위한 투자 솔루션을 다양한 투자자들에게 제공하는 핵심 요소”라고 설명했다.

LGIM 유동성 펀드는 단기 및 초단기 현금 관리용 상품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목표로 자금을 즉시 현금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저위험 자산에 투자하고 원본을 보전하면서 소액 수익률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영국 정부, 토큰화 상품 개발 허가

영국 정부는 2023년 11월, 인가 펀드에 토큰화 상품 개발을 허가했다. 금융행위 감시기구(FCA)에 인가된 펀드는 판매 및 상환 거래에 토큰화를 채택할 수 있다. 단, 투자 포트폴리오는 주식이나 채권 등 주류 투자 자산으로만 구성되어야 하며, 암호화폐는 포함할 수 없다. 또한 기존 평가 및 결제 프로세스를 유지해야 한다.

워킹그룹 미셸 스크림졸 의장은 펀드 토큰화가 효율성과 유동성 향상, 리스크 관리 강화, 맞춤형 포트폴리오 작성을 용이하게 하여 업계 운영 방식에 혁명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블랙록 BUIDL, 현실 자산 토큰화 선도

현실 자산(RWA) 토큰화 분야에서는 미국 자산운용기업 블랙록의 ‘USD 기관 디지털 유동성 펀드(BUIDL)’가 두각을 나타낸다. 이더리움에서 발행되며 토큰당 1달러 가치를 가지는 BUIDL은 소유자가 금리를 획득할 수 있다. 총자산의 100%를 현금, 미국 채권, 현지 계약에 투자한다.

미국 채권 기반 온체인 펀드로는 프랭클린 템플턴의 ‘프랭클린 온체인 미국 정부 머니 펀드(FOBXX)’도 있지만, 최근 BUIDL에 선두 자리를 내주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홍콩, 토큰화 예금·자산·채권 발행 추진

갤럭시디지털, 블록체인 기반 토큰화 머니마켓펀드 출시 준비

비트와이즈, 미국 SEC에 스테이블코인·토큰화 ETF 신청

런던증권거래소그룹, 사모펀드 토큰화 블록체인 플랫폼 가동

포워드 인더스트리스, 솔라나 투자 위해 $40억 규모 주식 발행 추진

바이낸스, 롬바드(BARD) 코인 현물마켓 상장 · HODLer 에어드랍 진행

아스타 네트워크, ASTR 코인 고정 공급량 전환 투표 시작

코인원, 얄라(YALA) 코인 거래유의종목 지정·스마트 레이어(SLN) 코인 연장

미국 월가
업비트
업비트

인기뉴스

1

비트멕스, 17일 국내 유명 고래 트레이더 ‘워뇨띠’와 실시간 AMA 개최

워뇨띠
2

아발론 랩스, BTC트레저리스넷 기준 비트코인 보유 5위 비공개 기업

아발론 랩스(Avalon Labs)
3

바이낸스, 토시(TOSHI)·에스티비엘(STBL) 코인 무기한 선물마켓 상장 예정

바이낸스
4

오케이엑스, 에테나(ENA) 코인 현물마켓 상장 예정

OKX 거래소
5

비트마인·판테라·크립토퀀트·매트릭스포트, 비트코인 전망

비트코인
6

비트코인 전략 비축법 추진 위해 워싱턴 집결한 세일러 등 가상자산 업계 인사들

신시아 루미스 / 뉴욕포스트
7

빗썸, 토시(TOSHI)·홀로월드(HOLO) 코인 원화마켓 상장 예정

빗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