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가상자산 시장, 이번 주 주목해야 할 5가지

14일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코인이 이번 주 6만 5천 달러(약 8,585만 원) 저항선을 일시적으로 돌파한 가운데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주 6만 달러(약 7,920만 원) 아래로 떨어졌던 것은 일시적인 하락을 보였으나, 투자자들은 6만 5천 달러 저항선 돌파를 주시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장기간의 조정 기간을 거치며 천천히, 상승하고 있으며, 분석가들은 매수세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 6만 5천 달러 돌파 향한 움직임

10월 14일 아시아 거래 시간 동안 비트코인은 6만 4,800 달러(약 8,558만 원)까지 상승하며 10월 최고치를 경신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일일 2.8% 상승했으며, 현재까지 월간 1.2% 상승했다.

BTC/USD 1시간 차트 - TradingView
BTC/USD 1시간 차트 – TradingView

전통적인 10월 상승률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비트코인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낙관적인 신호를 주었다. 유명 트레이더 크립토 토니는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올해 또는 내년 1분기에 새로운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BTC/USD 3일 차트 – Crypto Tony/X

여러 분석가들은 단기적으로 6만 5천 달러 저항선 재시험을 예상하며, 이를 현재 비트코인 조정 영역의 주요 격전지로 보고 있다. 트레이딩 플랫폼 크립토TA의 제작자인 트레이더 크립토 Ed는 엘리엇 파동 이론을 적용하여 지난주 5만 9천 달러(약 7,794만 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이제 무효화되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상승세는 지난주의 5만 7천 달러(약 7,534만 원) 시나리오를 무효화한다”며 “곧 6만 5천 달러 재시험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BTC/USD 4시간 차트 – Crypto Ed/X

2. 천천히, 그러나 확실하게 약화되는 저항

약 8개월 동안 지속된 조정 국면에서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치를 재시험하는 것은 “한 번에 한 걸음씩” 나아가는 문제입니다. 유명 트레이더이자 분석가인 렉트 캐피탈은 8월에 도달한 최고 일일 종가인 약 6만 4,300 달러(약 8,493만 원)를 다음 주요 저항선으로 강조했다. 그는 이 수준이 그 이후로 저항으로서 약화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렉트 캐피탈은 현재 가격 움직임이 8월 저항선을 완전히 극복하고 다음 관심 영역인 6만 6천 달러(약 8,718만 원)를 향해 계속 나아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는 현재 3월 이후 형성된 하향 채널의 상단 끝을 나타내고 있다.

BTC/USD 1주 차트. 출처 – Rekt Capital/X

온체인 분석 플랫폼 크립토퀀트의 주기영 대표는 매수자가 시장을 장악하고 저항을 돌파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모든 거래소의 비트코인 매수 벽은 이제 매도 벽을 무력화할 만큼 강하다”고 발표했다.

BTC 매수/매도 볼륨 차트 - 주기영/X
BTC 매수/매도 볼륨 차트 – 주기영/X

3. 금리 인하 전망, 실적 시즌 앞두고 약화

지난주 미국 거시경제 데이터 발표 이후, 이번 주에는 고용 지표와 기업 실적 발표가 주목받고 있으며, 대선 주간이 다가오고 있다. 고용 데이터는 연준에게 특히 곤란한 상황을 야기했는데, 현재 실업률 상승과 인플레이션 지표 상승이라는 두 가지 문제에 직면해 있다.

트레이딩 리소스 코베이시 레터는 “현재 연준, 선거, 지정학적 긴장, 기업 실적이 주목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주에는 S&P 500 기업의 약 10%가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CME 그룹의 페드워치툴의 최근 추정치는 11월 7일 금리 검토에 대한 시장의 기대 변화를 보여줍니다. 미국 대선 직후에 열리는 이번 회의는 0.5%의 대폭적인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이제는 금리를 전혀 인하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4. 개인 투자자 관심, 이번 사이클에서 “더욱 불균등”

3월 비트코인 사상 최고치 이후 개인 투자자 참여가 눈에 띄게 감소한 가운데, 10월 14일 크립토퀀트의 Quicktake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특히 “플랑크톤”이라고 불리는 비트코인 투자자 집단에 초점을 맞췄다.

기고자 Binh Dang은 “2024년 초 비트코인이 급등하기 시작한 이후 소매 투자자와 신규 투자자가 시장에 다시 진입했는지에 대한 논쟁이 많았다”며 “그러나 답은 미묘하다. 특정 데이터를 분석하면 더 명확한 그림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1년 단위로 지갑 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전 강세장과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 3월 고점 이전에는 플랑크톤이 0.1 BTC까지의 소액으로 매수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매도세가 우세했으며, 비트코인이 이전 수준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추세는 지속되고 있다.

비트코인 "플랑크톤" 주소 1년 변화 - 크립토퀀트
비트코인 “플랑크톤” 주소 1년 변화 – 크립토퀀트

5. ETF 자금 흐름, 시장 불안감 반영

미국 현물 비트코인 ETF의 자금 흐름을 살펴보면 비슷한 상황을 볼 수 있다. 지난주 미국 현물 비트코인 ETF는 5거래일 중 3거래일 동안 순유출을 기록했다. 영국 투자 회사 파사이드 인베스터의 데이터에 따르면, 가장 큰 순유출은 10월 10일 8천만 달러(약 1,056억 원) 이상이었으며, 다음 날에는 2억 5천만 달러(약 3,300억 원) 이상의 순유입으로 전환되었다.

미국 현물 비트코인 ETF 순자금 흐름
미국 현물 비트코인 ETF 순자금 흐름

이러한 혼합된 결과는 미국 거시경제 데이터로 인해 발생하는 불확실한 거래 환경에 기인한다. Bitcoindata21은 개인 투자자 참여가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두나무, 10월말 기준 비트코인 2081.8개 보유

스트래티지, 비트코인 2만2704개 이동

나스닥 상장사 SEGG미디어, $3억 규모 디지털자산 투자 계획…비트코인에 우선 배분

비트코인 채굴기업들 BTC·AI가 견인…’라이엇’ 사상 최대 수익

비트마인, 이더리움 7660개 추매…주간 11만2960 ETH 매수

스텔라, 체인링크 스케일 합류…기관용 토큰화·상호운용성 확대

유럽중앙은행, 2029년 CBDC ‘디지털 유로’ 발행 추진…2027년 시범 운영 검토

비트와이즈, 리플(XRP) 현물 ETF 美 SEC에 신청서 업데이트 제출, 지연 조항 삭제

인기뉴스

1

업비트, 월렛커넥트(WCT) 코인 퀴즈이벤트 진행

업비트
2

캐너리, 리플(XRP) 현물 ETF 美 SEC에 수정 신청…11월 13일 상장 전망도

XRP 레저 - 리플
3

업비트, 유엑스링크(UXLINK) 토큰 스왑 지원

업비트
4

비트코인 ‘업토버’ 부진…10월 월간 수익률 2014년 이후 최저

5

바이낸스 알파, AI16Z→ELIZAOS 토큰 스왑·거래 지원 예정

바이낸스 알파
6

미 투자은행 번스타인, 이더리움 보유기업 샤프링크 목표주가 75% 상향

샤프링크 게이밍
7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더리움 ETF
비트코인 현물 ETF
이더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