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SFC,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규제안 공개…중국 개방 기대감에 관련 코인 상승

“동일한 비즈니스, 동일한 위험, 동일한 규제” 원칙…소매 투자자 보호 조치 포함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가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VATP)에 대한 새로운 규제 요건에 대한 공개 협의 절차에 들어갔다. 이는 2023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가상자산 플랫폼 라이선스 제도에 따른 후속 조치로, 향후 홍콩 시장에서 가상자산 사업을 수행하려는 모든 중앙 집중형 거래소는 SFC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이번 규제안은 기존 증권중개인 및 자동거래장에 적용되는 규제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투자자 보호를 핵심으로 한다. SFC는 플랫폼 운영자의 라이선스 요건 외에도 소매 투자자 대상 서비스 제공 여부, 고객 온보딩 절차, 토큰 승인 기준 등 다양한 투자자 보호 조치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줄리아 렁 SFC 최고경영자(CEO)는 “2018년부터 유지해 온 규제 철학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비즈니스, 동일한 위험, 동일한 규제’ 원칙에 따라 투자자 보호를 위한 강력한 조치를 포함하고 있다”며 “최근 일부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의 붕괴 사례를 고려할 때, 가상자산 공간의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와 투자자 보호는 전 세계 규제기관 간 공감대가 형성된 사안”이라고 밝혔다.

규제안은 고객 신원확인, 자산 보관, 사이버 보안, 내부 통제, 회계 및 감사, 자금세탁 방지 및 테러자금 조달 방지, 시장질서 유지 등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토큰 상장 관련 실사 및 공개 기준, 거버넌스 체계, 거래 투명성 강화 등도 주요 내용으로 담겼다.

새 제도 하에서 기존 플랫폼은 시스템과 통제를 재정비하고, 면허 신청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신청 계획이 없는 경우에는 홍콩 시장 철수를 준비해야 한다. SFC는 각 플랫폼의 규제 상태를 공식 웹사이트에 공개하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교육 활동도 병행할 방침이다.

공식 의견 수렴은 2023년 3월 31일까지 진행되며, SFC 웹사이트 또는 이메일을 통해 제출할 수 있다.

이번 발표 이후 중국 관련 암호화폐 종목은 중국 시장의 규제 완화 및 개방 기대감에 힘입어 일제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암호화폐는 높은 가격 변동성을 동반하는 위험자산으로,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홍콩 SFC
홍콩 SFC 이미지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미국, 중국 대상 반도체 소프트웨어 수출규제 철회

중국, CNH 스테이블코인 발행 검토…국제 통화 주도권 경쟁

미국 코네티컷주, 디지털자산 보유·투자 금지 법안 서명

홍콩 GF증권, 위안화 기반 이자 지급 토큰 출시…해시키 거래소 거래지원 예정

러시아 국영 로스텍, 트론 기반 루블 연동 스테이블코인 추진

업비트 “코인빌리기 서비스” 오픈

앰버 인터내셔널, 암호화폐 투자 위해 370억원 투자 유치

바이낸스 월렛, 붐(BOOM) TGE 이벤트 예정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업비트

업비트 “코인빌리기 서비스” 오픈

업비트

업비트·빗썸, 스트라이크(STRIKE) 코인 거래유의종목 지정

미국 공화당, 공식적으로 가상화폐 지지선언

트럼프 “10~12개국에 서한 보낼 계획…8월부터 10~70% 관세 거론”

빗썸

빗썸, 코인대여 서비스 오픈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인기뉴스

1

美 하원, 7월 셋째 주 ‘가상자산 3대 법안’ 일괄 심의 예고

미국 비트코인
2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업계별 희비 엇갈려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서명
3

업비트·빗썸, 스트라이크(STRIKE) 코인 거래유의종목 지정

업비트
4

업비트 “코인빌리기 서비스” 오픈

업비트
5

전 이더리움 개발자 “3가지 요인으로 상승 촉발할 것”

이더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