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재단, 2023년 지출 내역 공개…비탈릭 부테린 급여 1억8천만원

이더리움 재단이 2023년 지출 내역을 공개했다.

이더리움 재단이 약 1300억 원 상당의 이더리움을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에 송금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재단의 자금 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재단 측은 해당 송금이 보조금 및 급여 등 재무 관리 활동의 일환이며, 향후 매각은 계획적이고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공개했다.

또한 이더리움 공동 창업자 비탈릭 부테린은 27일 자신의 연봉이 18만 2천 싱가포르 달러(약 1억 8600만원)라고 밝혔다.

‘새 조직’ 구축 지원에 가장 많은 지출

2023년 재단 지출 내역 중 가장 큰 비중(36.5%)을 차지한 것은 ‘새 조직’ 구축 지원이었다. 재단 홍보 담당자 조슈 스타크는 이를 “장기적으로 이더리움 생태계를 강화하고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조직 구축을 돕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새 조직’으로는 레이어 2 프로젝트 정보 제공 플랫폼 L2BEAT, 이더리움 개발을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제공 단체 Nomic Foundation, 분산형 에코시스템 연구 기관 Decentralization Research Center, 암호화 연구 응용 프로그램 0xPARC 등이 있다.

이더리움 생태계 지원 프로그램 보조금 확대

이더리움 재단은 지난 몇 년 동안 생태계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보조금을 꾸준히 늘려왔다. 2021년에는 136개 프로젝트에 총 약 247억원, 2022년에는 397개 프로젝트에 약 275억원, 2023년에는 498개 프로젝트에 약 561억원을 지급했다. 특히 2023년에는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레이어 1 연구·개발, 커뮤니티 개발 등

두 번째로 큰 지출처는 L1(레이어 1) 연구·개발로, 외부 팀 및 재단 내부 연구에 대한 보조금을 포함해 전체 지출의 24.9%를 차지했다. 이더리움 실행 레이어·클라이언트 Go-Ethereum(Geth), Solidity 연구 개발, 개발자 컨퍼런스 Devcon, 이더리움 프로토콜 연구·개선 단체 Robust Incentives Group 등이 이 카테고리에 포함된다.

그 외 커뮤니티 개발(12.7%), 응용 영지식 증명(10.4%) 등에도 상당한 금액이 지출되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7/8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833억원 순유입

나스닥 상장사 비트디지털, BTC→ETH 전환 완료…총 10만 ETH 보유

美 정부, 압류 자산 중 이더리움 86개 코인베이스 프라임에 이체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거래당 가스 상한’ 제안

일론 머스크, AI 챗봇 ‘그록 4’ 공개 예정

비트코인, 10~11만달러 50일간 횡보…13만달러 콜옵션 매수 증가

빗썸, 메이플 파이낸스(SYRUP) 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솔라나

美 SEC, 솔라나 현물 ETF 신청사들에 7월내 수정 제출 요구…일정 앞당겨 질까

톤코인(TON)

톤코인 ‘TON 스테이킹 UAE 골드비자’ 해명

코인 이미지

로이터 “美 SEC, 신규 암호화폐 현물 ETF 승인 ‘이르면 초가을’” 전망

인기뉴스

1

코인원, 멀린체인(MERL) 퀴즈 이벤트 진행

코인원
2

플룸, 트론 협력…실물자산 수익 서비스 제공

플룸 네트워크(Plume Network)
3

밈코인 오피셜트럼프 x 트론 어나운스먼트 예고

오피셜트럼프
4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5

머스크 “아메리카당, 비트코인 수용”

일론 머스크 비트코인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