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연준 의장, 6차례 잭슨홀 연설 되짚어보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2018년 취임 이후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총 6차례 중요한 연설을 했습니다. 파월 의장의 역대 잭슨홀 연설 내용과 당시 시장 반응을 되짚어봅니다.

특히 금리 변동에 민감한 2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과 투자은행의 전망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2018년: 점진적 금리 인상 시사, 중립 금리 및 실업률 예측에 의문 제기

  • 2년물 국채 수익률: -1bp (하락)
  • 시장 반응: ‘점진적’이라는 단어를 분기별 금리 인상으로 해석. 중립 금리(r*) 및 중립 실업률(u*) 예측에 대한 의구심 제기.
  • 위험 요인: 높은 인플레이션 및 재정적 과잉 확장.

2019년: 추가 금리 인하 지지, 시장은 이미 금리 인하 예상

  • 2년물 국채 수익률: -4bp (하락)
  • 시장 반응: 일련의 하방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추가 금리 인하 필요성 강조. 시장은 이미 금융 여건 완화를 위해 금리 인하를 예상.
  • 골드만삭스: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 상승.

2020년: 유연한 평균 인플레이션 목표제 도입, 장기 완화 정책 시사

  • 2년물 국채 수익률: +0.4bp (상승)
  • 시장 반응: 유연한 평균 인플레이션 목표제 도입 발표. 중요한 장기 완화 정책 변화지만 대체로 예상에 부합.
  • 골드만삭스: 향후 가이던스 및 자산 매입 계획 변경 예상 시점 앞당김.

2021년: 델타 변이 우려에도 채권 매입 축소 시사

  • 2년물 국채 수익률: -2bp (하락)
  • 시장 반응: 강력한 고용 데이터 인정하지만, 델타 변이로 인한 하방 위험도 언급. 곧 채권 매입 축소 발표 예상.

2022년: 인플레이션 억제 위한 긴축 정책 유지 강조

  • 2년물 국채 수익률: +4bp (상승)
  • 시장 반응: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 시사. 하지만 인플레이션 통제 위해 상당 기간 긴축 정책 유지 필요성 강조. 데이터에 따라 결정될 것.

2023년: 신중한 금리 인상 기조 유지, 경기 둔화 가능성 언급

  • 2년물 국채 수익률: +4bp (상승)
  • 시장 반응: 향후 금리 인상 여부 신중하게 결정할 것. 다음 회의 혹은 이번 금리 인상 사이클에서 금리 인상 없을 가능성 시사. 경기 둔화 가능성 언급.

파월 의장의 2024년 잭슨홀 연설은 한국시간으로 8월 23일 오후 11시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미국 6월 실업률 4.1% 예상치 하회…비농업 고용 14만7000명 증가

미 하원, ‘빅 뷰티풀 법안’ 최종 표결 예정

미국, 중국 대상 반도체 소프트웨어 수출규제 철회

‘피터 틸’ 포함 美 테크 억만장자들, 가상자산 전문은행 ‘에레보르’ 설립 추진

트럼프, 푸틴과 4일 통화 예정…우크라이나 전쟁 중재 시도

텔레그램 톤코인 개발사, 388억원 투자 유치…기업가치 10억달러

나스닥 상장사 나노랩스, 680억원 규모 비앤비(BNB) 코인 장외매입

디파이디벨롭먼트, 솔라나 1만7760개 추매…총 보유량 64만개 돌파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미국 증시 / 프리픽

미국 6월 실업률 4.1% 예상치 하회…비농업 고용 14만7000명 증가

미국 중국 관세 전쟁

미국, 중국 대상 반도체 소프트웨어 수출규제 철회

업비트

업비트, 무뎅(MOODENG)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트럼프, ‘빅 뷰티풀 법안’ “오늘밤 처리 임박, 역대 최대 감세”

인기뉴스

1

업비트, 무뎅(MOODENG)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업비트
2

미 하원, ‘빅 뷰티풀 법안’ 최종 표결 예정

미국 월스트리트
3

美 첫 솔라나 스테이킹 ETF, 첫날 거래량 447억원 기록

솔라나
4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5

트럼프, ‘빅 뷰티풀 법안’ “오늘밤 처리 임박, 역대 최대 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