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먼데이 후 기관투자자 USDT·USDC 대량 발행, 비트코인 V자 반등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지난 5일 블랙먼데이에 급락했던 가상자산 시장은 미국 증시 반등과 함께 빠르게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비트코인은 한때 49,000달러까지 떨어졌지만, 강한 반발 매수세에 힘입어 V자 반등에 성공하며 9일에는 62,000달러까지 급등했다.

이러한 강력한 반등의 배경으로는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T와 USDC의 신규 발행을 통한 기관 투자자와 큰손 투자자들의 자금 재유입이 있었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블랙먼데이 이후 USDT는 13억 달러(약 1조 7,780억원), USDC는 16억 달러(약 2조 1,820억 원) 규모의 신규 토큰이 발행되어 크라켄, 코인베이스, OKX 등 주요 거래소에 입금되었다.

스테이블코인의 신규 발행 및 거래소 입금은 매수 압력의 신호로 해석되며, 과거에도 대규모 투자자나 기관 투자자들이 시세 급락 후 저가 매수를 위해 USDT, USDC를 대량 발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로 7월 초에도 독일 정부의 비트코인 매각 및 마운트곡스 상환 관련 우려로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했을 때, USDC가 대량 발행되면서 비트코인은 반등하여 월말에는 69,000달러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미국 경기 침체 리스크, 중동 정세 불안 등 여전히 우려되는 요소들이 남아있어 비트코인이 다시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크립토퀀트의 분석에 따르면 64,000달러~65,000달러 가격대는 단기 투자자들의 실현 가격으로 작용하여 저항선이 될 가능성이 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8/21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4,288억원 순유출

트럼프 차남 “비트코인, 100만달러 간다”

영국, 4년만에 규제 철회 비트코인 ETN 10월 8일 부터 허용

비트코인 하락에 따른 개인 투자자 심리 악화

코인베이스 임원 “YZY 코인 94% 내부 보유”

이더리움 재단, 보안 강화 지침 발표

토큰화 주식 서비스 ‘xStocks’, 트론 블록체인 지원

모카 코인, 크라켄 상장

디지털자산 헤드라인

칸예 웨스트 - 버라이어티

유명 래퍼 칸예 웨스트, 솔라나 기반 YZY 밈코인 출시

이더리움 ETF

8/21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3,298억원 순유출

비트코인 현물 ETF

8/21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4,288억원 순유출

스테이블코인

7월 연준 FOMC 의사록에서 ‘스테이블코인’ 8차례 언급

코인베이스

코인베이스, SAPIEN··USELESS 코인 상장 · AWE·DOLO·FLOCK·LAYER·SPX 상장로드맵 추가

인기뉴스

1

포인트72·엑소더스포인트, 트럼프家 WLFI 관계사 ‘알트5 시그마’ 지분 매입

알트5 시그마
2

사라진 가상자산 스타 창업자들

개빈 우드
3

중국,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 검토

중국 디지털 위안화
4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5

떠오르는 유망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들

스테이블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