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Solana) 생태계 개발 플랫폼 헬리우스(Helius)의 최고경영자 머트 뭄타즈(Mert Mumtaz)는 4월 9일, 솔라나 네트워크의 최근 불안정 현상과 관련해 원인을 설명하는 글을 소셜 플랫폼에 게시했다.
뭄타즈는 네트워크 정체 문제는 솔라나 프로토콜 자체의 설계 결함 때문이 아니라, 현재 사용 중인 QUIC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특정 구현에서 발생한 버그에 기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프로토콜의 설계를 자동차의 전체 설계로, 구현을 다양한 브랜드의 자동차 모델에 비유하며, “특정 모델의 문제가 전체 자동차 설계의 문제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솔라나 네트워크는 QUIC 프로토콜을 사용해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고 있으며, 뭄타즈는 이 프로토콜의 현재 구현에 결함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파이어댄서가 개발 중인 솔라나의 새로운 구현에서는 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문제 해결을 위한 수정 사항은 4월 15일 출시될 예정이며, 테스트 과정에서 추가 문제가 발견되면 일정이 변경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버그 수정 이후에는 현지 수수료 시장과 경제적 인센티브 설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솔라나가 기술적 안정성을 넘어서 장기적인 경제적 지속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