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형 자산운용사 아크 인베스트 CEO 캐시 우드는 비트코인이 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전 세계적인 통화 가치 하락을 지목했다.
4월 3일 CNBC ‘스쿼크 박스’에 출연한 우드는 “사람들은 통화 평가절하를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며, 나이지리아, 이집트, 아르헨티나의 통화 가치가 큰 폭으로 하락한 점을 예로 들었다.
우드는 “나이지리아 나이라는 지난 9개월 동안 50~60% 하락했고, 이집트 통화는 최근 40% 평가절하됐다”며, 비트코인이 통화 가치 하락에 대한 대응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 거래가 시작된 것도 가격 상승 요인 중 하나지만, 대중의 관심은 아직 높지 않다고 분석했다.
그녀는 지난해 미국 은행 파산 사태 당시 비트코인 가격이 40% 상승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비트코인이 카운터파티 리스크가 없는 자산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비트코인 전망 및 현물 ETF 영향력 강조
우드는 올해 1월 CNBC 출연 당시 2030년 비트코인 가격 전망을 제시한 바 있다.
당시 그녀는 비트코인이 1BTC당 60만 달러(약 8억 원)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으며, 강세 시나리오에서는 최대 150만 달러(약 20억 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 근거로 비트코인 현물 ETF의 승인으로 기관 투자자들의 시장 접근성이 개선될 것을 들었다. 아크 인베스트는 21쉐어스와 함께 비트코인 현물 ETF를 제공하는 기업 중 하나다.
코인베이스 분석가들 또한 중기적으로 미국 기반 비트코인 현물 ETF에 상당한 자본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현재 비트코인 ETF로의 자금 유입은 다소 둔화됐지만, 미국 브로커딜러들이 신규 금융상품 심사 기간을 거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추가적인 유입이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There are currency devaluations that people are not talking about,” says Ark Invest CEO @CathieDWood on the rise of $BTC. “I think this is a flight to safety, believe it or not, taking place. A hedge against devaluation. A hedge against loss of purchasing power and wealth.” pic.twitter.com/8NVh5NS9tP
— Squawk Box (@SquawkCNBC) April 3,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