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X 거래량 증가, 실질 수익 모델 전환 전망
- 유니스왑, 하루 370만 달러 수수료 창출하며 시장 주도
- SEC 규제 우려 속 디파이 토큰의 법적 해석 변화 가능성
더블록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번스타인의 애널리스트 가우탐 추가니와 마히카 사프라는 3월 4일 보고서에서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디파이(DeFi) 시장이 급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목차
Toggle디파이 시장 전환: 지속 불가능한 모델에서 실질 수익 모델로
번스타인은 비트코인 강세장이 DEX(탈중앙화 거래소) 거래량 증가를 촉진할 것이며, 유니스왑(Uniswap)을 비롯한 디파이 프로토콜들이 수수료 공유 메커니즘을 도입하면서 지속 불가능했던 토큰 인센티브 모델에서 실질 수익 모델로 전환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번스타인은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 내 디파이 비중을 15%로 확대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5%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다.
테라 붕괴의 교훈과 유니스왑의 새로운 모델
분석가들은 2022년 5월 테라(Terra) 생태계 붕괴를 예로 들며, 당시 앵커(Anchor) 프로토콜이 테라USD(UST)에 대해 20%의 고수익률을 제공했으나, 루나(LUNA) 가격 폭락으로 지속 불가능한 모델이었음을 강조했다.
현재 유니스왑은 새로운 수익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 24시간 동안 20억 달러(약 2조 6,600억 원) 규모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코인베이스(Coinbase) 거래량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이에 따라 하루 370만 달러(약 49억 1,000만 원)의 수수료를 창출하는 가장 큰 디파이 프로토콜로 평가받고 있다.
진행 중인 수수료 공유 투표를 통해 유니스왑 토큰이 단순한 거버넌스 토큰에서 사용자 수익을 창출하는 토큰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며, 번스타인은 여러 디파이 프로토콜이 이 모델을 따를 것으로 기대했다.
SEC 규제 우려와 디파이의 법적 기회
번스타인은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비트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암호화폐를 증권으로 간주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추가니와 사프라는 “코인베이스와 SEC의 사건 핵심은 12개 토큰을 증권으로 지정하고 코인베이스를 미등록 증권 거래소로 간주한 것”이라며, SEC가 포괄적인 규제보다는 개별적인 법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리플(Ripple)과 SEC 간의 소송에서 미국 법원이 SEC의 전면적인 주장보다 미묘한 차이를 둔 판결을 내린 점을 지적하며, 암호화폐 업계가 토큰에 대한 법적 해석을 바꿀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비트코인 ETF 유입, 사상 최고치 돌파 전망
번스타인은 비트코인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하락 폭이 얕아질 경우 공격적인 매수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비트코인이 2021년 기록한 69,000달러(약 9,400만 원)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으며, 규제 환경이 명확해지면서 글로벌 자산 관리자들이 디파이 ETF 및 특정 활성 디파이 펀드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비트코인은 65,000달러(약 8,800만 원)를 돌파했으며, 유럽 시장에서는 60,000유로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