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 S&P500 최고치 경신…미 1월 소매판매 부진에 소비 과열 우려 완화

AI·반도체 약세, 은행·에너지 강세…비트코인 관련주는 혼조세

뉴욕 증시 주요 지수가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S&P500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소폭 상승했고, 나스닥 지수는 약보합세를 나타냈다.

이번 상승은 최근 발표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충격 이후, 1월 소매 판매 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하게 나오면서 소비 과열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1월 미국 소매 매출은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해 마이너스로 전환됐으며, 이에 따라 미 국채 수익률도 하락했다.

섹터별 흐름

AI와 반도체 관련 종목은 약세를 보인 반면, 은행과 에너지 업종이 시장 전반의 상승을 주도했다. 특히 엔저에 따른 수출 기대가 반영되며, 일본 증시도 강세를 이어갔다.

알파벳 주가는 오픈AI가 구글에 대항하는 새로운 웹 검색 엔진 개발에 나섰다는 소식에 2% 하락했다. 오픈AI는 또한 텍스트 기반으로 60초 분량의 영상을 자동 생성하는 ‘소라(Sora)’를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주요 경제 지표 일정

  • 2월 16일(금) 22:30 – 미국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
  • 2월 22일(목) 22:30 –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2월 26일(월) 24:00 – 미국 1월 신축주택 판매
  • 2월 27일(화) 08:30 – 일본 1월 전국 소비자물가지수(CPI)
  • 2월 28일(수) 22:30 – 미국 2023년 4분기 실질 GDP 개정치
  • 2월 29일(목) 22:30 – 미국 1월 개인소비지출(PCE) 디플레이터

가상자산 관련주 및 시세

  • 코인베이스 165.6달러 (+3.3%)
    → 실적 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15.48% 급등
  • 마이크로스트래티지 718달러 (-6.7%)
  • 마라톤 디지털 홀딩스 27달러 (-8.1%)

비트코인은 52,000달러 저항선 돌파에 실패하면서 횡보세를 보였다. 종가는 51,800달러로 전일 대비 변동이 없었으며, 이더리움은 2,822달러로 1.8% 상승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11/19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1098억원 순유출

11/19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5337억원 순유출

AI 버블 우려에 뉴욕증시 하락…엔비디아·AMD 동반 약세, 비트코인은 반등

인기뉴스

1

클라우드플레어 글로벌 장애로 X 등 주요 가상자산 서비스 접속 장애

클라우드플레어
2

피델리티, 스테이킹 포함한 솔라나 현물 ETF ‘FSOL’ 출시

솔라나
3

코인원, 아리아 프로토콜(ARIAIP) 코인 퀴즈 이벤트 진행

코인원
4

비둘기, 이더리움·솔라나 롱 포지션 확대…“과매도 구간 재진입” 주장

바이낸스 선물 탑 트레이더 유진 응 아 시오(Eugene Ng Ah Sio)
5

업비트, 메테오라(MET2) 코인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예정

업비트
6

비트코인 발행량 95% 채굴 완료…나머지 5%는 2140년쯤 모두 풀릴 전망

비트코인 채굴
7

비트코인 단기 보유자 손실 물량 FTX 붕괴 이후 최대…고래 지갑은 매수 전환

비트코인 단기 보유자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더리움 ETF
비트코인 현물 ETF
미국 비트코인

비트코인 도미넌스(BTC.D) 차트

이더리움 도미넌스(ETH.D) 차트

알트코인 도미넌스 차트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알트코인 시즌 지수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