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마스크가 지난 주말 이더리움(ETH) 스테이커를 위한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번 서비스는 검증자(밸리데이터) 노드 운영을 대행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는 직접 하드웨어를 운용하지 않고도 스테이킹에 참여할 수 있다.
스테이킹 수익률 및 조건
메타마스크를 통해 스테이킹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예상 연간 수익률은 약 4% 수준이며, 이는 획득한 보상에서 10%의 수수료를 제한 후의 수치다.
이더리움에서 독립적인 검증자가 되려면 32ETH를 예치해야 하며, 하드웨어도 직접 준비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보다 적은 ETH로도 참여할 수 있는 스테이킹 대행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으며, 메타마스크의 ‘네비게이트 밸리데이터 스테이킹(Navigate Validator Staking)’ 기능도 이러한 흐름의 일환이다.
제3자 대행 서비스 활용
메타마스크의 새로운 스테이킹 서비스는 Consensys Staking과의 제휴를 통해 제공된다. 이 방식에서는 제3자가 검증자 노드를 운영하는 역할을 맡아 사용자의 부담을 줄인다.
이 과정에서 메타마스크는 논커스터디얼(자기관리형) 지갑의 장점을 유지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자산을 직접 제어하면서도 노드 운영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이더리움 머지(The Merge)와 PoS 전환
2022년 9월, 이더리움은 머지(The Merge) 업그레이드를 통해 기존 작업증명(PoW) 방식에서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전환했다. 이 과정에서 채굴 작업이 사라졌으며, 보다 친환경적인 네트워크 운영이 가능해졌다.
PoS 시스템에서는 이더리움을 담보로 제공하고 네트워크 운영에 기여하는 참여자에게 보상이 주어진다. 보상은 검증자의 스테이킹 잔고에 비례해 배분되며, 1,300만 ETH가 스테이킹된 상태에서 예상 인플레이션율은 연간 0.49% 수준으로, PoW 시절보다 약 90%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