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시장 진입 전망… 노동부는 여전히 우려 표명
미국에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상장 심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퇴직연금 401k 제도를 통한 투자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CNBC에 따르면, 금융고문기업 Columbia Advisory Partners의 설립자이자 재정플래너인 스티븐 T. 라슨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할 경우, 기업들이 401k 제도를 통해 해당 ETF에 투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코인포스트는 미국 노동부가 2022년 3월 발표한 가상화폐 투자 관련 경고를 인용해, 노동부는 가격 변동성, 규제 미비, 자산 보유의 어려움 등을 주요 리스크로 지적했다고 전했다. 특히 비밀번호 분실, 해킹, 도난 등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도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ETF를 통한 투자가 이러한 위험을 완화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비트코인 자체를 직접 보유하지 않고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이나 관리 측면에서의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비트코인 현물 ETF가 401k 제도 내에서 채택될 경우, 해당 결정은 기업 인사부나 수탁자가 아닌 직원들의 요청에 따라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현재 대부분의 퇴직연금 계좌는 암호화폐 보유 옵션이 제한적이며, 노동부의 지침에 따라 많은 고용주들이 401k 계획에 가상자산을 포함시키는 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만 SEC의 승인이 이뤄질 경우, 일부 기업들이 비트코인 ETF를 401k에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또한 퇴직계좌를 통한 투자는 장기 투자자에게 세금 혜택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Roth IRA 계좌의 경우 투자 수익에 대한 세금 면제가 가능하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
SEC는 현재까지 가상화폐 현물 ETF에 대해 승인한 적이 없으며, 투자자 보호 문제를 주요 이유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은 SEC와의 협의를 통해 구조 개선과 신청서 수정을 진행 중이다.
자산운용사 블랙락도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을 신청한 기업 중 하나로, SEC 심사에 대비한 준비를 이어가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SEC가 여러 ETF를 동시에 승인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ARK의 ETF 심사 마감일이 가까워짐에 따라 2024년 1월 중 승인 여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한편, 401k 제도는 미국에서 공적연금 외에 선택적으로 가입할 수 있는 기업연금으로, 종업원이 적립한 자금을 스스로 운용하며 세제 혜택도 제공받는 구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