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지수 상승…파월 발언 속 금리 인하 기대와 시장 온도차

6개월 인플레이션 평균 2.5%…FOMC, 12월 금리 결정 앞두고 주목

미국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294.6달러(약 38만 원)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반면 채권시장에서는 미 연방준비제도(FRB)의 통화정책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며 수익률 하락세가 이어졌다. 이는 제롬 파월 FRB 의장의 발언에 대한 해석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파월 의장, 인플레이션 둔화 속 신중한 스탠스 유지

파월 의장은 12월 1일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에 근접할 때까지 현재의 금융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며, 필요 시 추가적인 조정에도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에 대해 선을 긋는 발언으로 해석됐다.

다만, 물가 둔화와 경제 감속 조짐이 뚜렷해지는 상황에서 FRB 내부에서는 보다 완화적인 기류도 감지되고 있다. 최근 FRB 이사들의 비둘기파적 발언이 잇따르면서 2024년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시장 기대가 재차 부상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지표와 금리 전망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개인소비지출(PCE) 지표는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10월까지 6개월간의 인플레이션 벤치마크는 평균 2.5%를 기록했다. 이는 연준의 목표치인 2%에 근접한 수준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내년 9월까지 정책금리가 현재의 4.5-4.75%(현재 5.25-5.50%)로 인하될 가능성이 40%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권·금·지수 반응

파월 의장의 신중한 발언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금리 하향 조정 가능성을 반영하며 다음과 같은 움직임을 보였다:

  • 다우지수: +294.6달러 상승
  • 10년물 미국채 수익률: -2.76% 급락
  • 금 현물 시세: 사상 최고 수준 재접근
  • ISM 제조업 종합경기지수: 13개월 연속 위축

다음 FOMC 금리 발표 일정

연준의 기준금리 결정은 12월 14일(목) 오전 4시(한국시간) 예정돼 있으며, 이번 회의에서 금리 동결 여부와 함께 점도표(Dot Plot)를 통한 향후 정책 방향이 공개될 예정이다.

또한, 주목할 고용 지표 발표가 다음 주 예정돼 있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시선이 다시 조정될 수 있다.

└관련뉴스📨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10/31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2611억원 순유출

10/31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6866억원 순유출

비트코인 ‘업토버’ 부진…10월 월간 수익률 2014년 이후 최저

OKX·바이비트, 캔톤 네트워크(CC) 코인 사전-무기한 선물마켓 상장

이더파이 DAO, 최대 $5000만 규모 ETHFI 코인 바이백 제안

아발론 랩스, AI 기반 실물자산 거래 플랫폼 백서 공개…AVL 코인 20%↑

월드리버티파이낸셜, USD1 포인트 프로그램 디파이로 확장

인기뉴스

1

업비트, 월렛커넥트(WCT) 코인 퀴즈이벤트 진행

업비트
2

캐너리, 리플(XRP) 현물 ETF 美 SEC에 수정 신청…11월 13일 상장 전망도

XRP 레저 - 리플
3

업비트, 유엑스링크(UXLINK) 토큰 스왑 지원

업비트
4

비트코인 ‘업토버’ 부진…10월 월간 수익률 2014년 이후 최저

5

바이낸스 알파, AI16Z→ELIZAOS 토큰 스왑·거래 지원 예정

바이낸스 알파
6

미 투자은행 번스타인, 이더리움 보유기업 샤프링크 목표주가 75% 상향

샤프링크 게이밍
7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이더리움 ETF
비트코인 현물 ETF
이더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