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주가, 신고가 경신…AI 기대감 속 경기 침체 우려도 병존

연초 대비 45% 상승…비전 프로·아이폰 15 출시 기대감 반영

미국 현지시간 27일, 애플 주가는 1.5% 오른 주당 188.06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새로운 신고가를 기록했다. 그러나 배런스는 애플이 여전히 매도 압력을 야기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로부터 자유롭지 않다고 전했다.

AI 열풍과 제품 기대감이 주가 견인

애플의 주가는 올해 들어 45% 상승하며 기술주 전반의 강세 흐름을 이끌고 있다.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주요 기술 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나스닥 지수도 올해 30% 상승이 예상된다.

하지만 애플 주가를 견인하는 요소는 AI뿐만이 아니다. 지난 5월 실적 발표에서 양호한 수익을 기록한 데 이어, 15인치 맥북 에어와 혼합현실(MR) 기기 ‘비전 프로’의 발표도 향후 판매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여기에 오는 9월 출시 예정인 아이폰 15에 대한 관심도 주가 상승에 힘을 보태고 있다.

순익 대비 고평가…경기 침체 시 소비 위축 가능성

애플 주식은 현재 순익의 28.8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경기 침체가 도래할 경우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구조다. 애플 전체 매출의 대부분은 제품 판매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올해 2분기 아이폰 판매가 전체의 54%인 513억 달러를 차지했다.

경기 둔화로 소비자 지출이 감소할 경우, 아이폰을 비롯한 제품군과 앱스토어, 애플 뮤직 등 서비스 부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분석가들의 의견 엇갈려…“거시 리스크는 여전”

UBS의 데이비드 보그트는 지난 6월 12일 보고서에서 아이폰 판매 및 서비스 수익의 성장 둔화를 지적하며, 애플 주식에 대한 평가를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그는 “경쟁 심화, 거시경제 역풍, 아이폰 기반 성장 둔화가 서비스 매출 성장에 제약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Monness Crespi Hardt의 브라이언 화이트는 애플이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과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며 주식을 ‘매수’로 평가했다. 그의 목표가는 188달러였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거시 경제 및 지정학적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애플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준비를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애플은 고성장을 지속하면서도 경기 침체와 글로벌 환경 변화 등 복합적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향후 실적 흐름과 시장 반응이 주가 흐름에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나스닥 사상 최고치…엔비디아 시총 5조달러 눈앞·마이크로소프트 4조달러 돌파

애플, 아이폰17·스마트워치 공개 이벤트 임박

구글, 미국 반독점 소송서 중징계 피했다…애플과 검색 계약은 유지

머스크, 애플·오픈AI ‘아이폰 AI 독점’ 소송 제기

온톨로지, 메인넷 v3.0 업그레이드 예정… ONG 토크노믹스 개편

비자, 크리에이터 대상 스테이블코인 USDC 지급 시범사업 개시

골드만삭스 “미 셧다운 이번주 끌날 시 다음주 초 고용데이터 발표 전망”

모건스탠리, 비트코인 ‘수확기’ 비유…“겨울 오기 전 차익 실현해야”

인기뉴스

1

OKX, 알로라(ALLO) 코인 현물마켓 상장·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OKX 거래소
2

마라 CEO “비트코인 채굴, 에너지 확보 없이는 생존 불가…2028년 반감기 이후 생태계 급변할 것”

마라 홀딩스(MARA Holdings)
3

폴리마켓서 미국 정부 15일 이전 셧다운 종료 확률 97%

4

미 하원, 42일간의 셧다운 종료 타협안 표결 예정

미국
5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6

캐너리 엑스알피(XRP) 현물 ETF, 13일 상장 전망

XRP 레저 - 리플
7

바이낸스, 알로라(ALLO) 현물·무기한 선물마켓 상장

바이낸스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비트코인 현물 ETF
이더리움 E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