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점유율 3위 재부상
저가 전력·데이터센터 과잉 투자 영향
채굴 규제는 여전히 공식 유지
비트코인 채굴이 지난 2021년 전면 금지 조치 이후 중국에서 다시 늘고 있다고 로이터가 24일 보도했다. 신장 등 전력 공급이 풍부한 지역에서 개인·법인 채굴자들이 저렴한 전기를 활용하며 채굴 규모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채굴 금지 직후 글로벌 비트코인 채굴 점유율이 ‘0’까지 떨어졌지만, 데이터 업체 해시레이트 인덱스(Hashrate Index)는 올해 10월 기준 중국 점유율이 14%에 이르며 미국·카자흐스탄에 이어 세계 3위로 다시 올라섰다고 전했다. 이러한 흐름은 카난(CANAAN)의 중국 내 장비 판매가 빠르게 회복된 점에서도 확인된다.
신장에서 활동 중인 개인 채굴업자는 “신장은 외부로 송전하기 어려운 전력이 많아 채굴로 소모한다”며 “전기가 저렴한 곳에서 채굴이 이어지고 있고 신규 프로젝트도 건설되고 있다”고 말했다.
2021년 규제 완화 신호는 아직 없지만, 현장에서는 채굴 재가동 움직임이 뚜렷하다. 당시 규제 강화로 해외로 옮겨갔던 채굴자 상당수가 다시 중국 내로 복귀했고, 채굴 수익성이 개선된 점도 반등 요인으로 지목됐다. 비트코인 시세는 10월 기록했던 고점 대비 약 3분의 1 하락했지만, 채굴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인식이 강하다.
페페추얼스닷컴 퍼트릭 그룬 최고경영자는 로이터에 “중국 지역별 경제 정책 유연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며 “중국 채굴 부상은 시장이 오랫동안 기다린 중요한 신호”라고 말했다.
카난은 올해 중국 비중이 커진 배경으로 미국 관세 불확실성,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따른 채굴 수익성 개선, 중국 내 디지털자산 기조 변화 등을 제시했다. 카난은 “중국에서 채굴기 연구개발·제조·판매는 허용된다”고 설명했지만, 실제 채굴 정책에 대한 언급은 거부했다.
로이터는 카난의 2분기 중국 매출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뛰었다는 업계 관계자 발언도 전했다.
이 같은 흐름에는 일부 중국 지방정부가 데이터센터 사업에 과도 투자해 전력·연산 자원이 남는 구조가 형성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전해졌다.
홍콩이 지난 8월 법정통화 담보 스테이블코인 제도를 시행하면서 디지털자산 규제 완화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시장에서는 주목하고 있다. 로이터는 중국이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활용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는 8월 보도를 다시 언급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크립토퀀트의 훌리오 모레노 연구책임자는 “비트코인 채굴은 여전히 공식적으로는 금지돼 있지만 중국에서 15~20%에 해당하는 해시파워가 돌아가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중국 만쿤법률사무소 류홍린 대표는 로이터에 “수익성이 높은 사업은 완전히 금지하기 어렵다”며 장기적으로 채굴 규제가 완화될 가능성을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