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금 반환 여부는 “아직 요청 안 했다”
바이낸스 창업자 CZ(자오 창펑)가 17일 X에서 미국 법무부에 낸 43억달러(약 6조2000억원)의 벌금이 반환될 경우 미국에 다시 투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블록체인 전문가 앤디 리안이 “사면을 받았으니 벌금이 돌아오는 것이냐”고 묻자 이에 답한 내용이다.
CZ는 이 질문을 “민감한 사안”이라고 표현하면서도, “이미 사면을 받은 것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일과 무엇이 공정한가, 이미 받은 것에 감사하는 태도 사이에는 균형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만약 반환이 이뤄진다면 감사의 뜻을 담아 미국에 투자하겠다”고 했고 “아직 반환을 요청한 적은 없다”고 덧붙였다.
CZ는 2023년 11월 바이낸스의 자금세탁 방지 체계 미흡 책임을 인정했고, 2024년 4개월 복역을 마쳤다. 당시 바이낸스는 43억달러를 벌금으로 납부했고, CZ 개인에게도 5000만달러의 벌금이 부과됐다. 그는 올해 10월 23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사면을 받았으며 이후 X에서 “미국을 가상자산의 수도로 만들기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사면을 둘러싸고는 트럼프가 추진하는 가상자산 사업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과 바이낸스의 관계가 논란이 돼 왔다. 2025년 5월 아랍에미리트의 국부펀드 성격 투자사 MGX가 바이낸스에 20억달러를 투자하면서 자체 스테이블코인 USD1을 사용했고, 이 구조가 트럼프 일가에 연간 6000만~8000만달러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의혹이 커졌다.
미국 민주당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CZ는 자금세탁 방지 위반을 인정한 뒤 트럼프의 가상자산 사업을 지원해 사면을 로비했다. 이는 부패”라고 비판했다. 반면 바이낸스 CEO 리처드 텡은 “USD1 사용은 MGX의 결정이며 바이낸스는 관여하지 않았다”고 반박했고 CZ도 워런 상원워원에 명예훼손 소송 가능성을 거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