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 세 번째 독립 조직 ‘Keel’
스테이블코인 USDS 활용 솔라나 프로토콜 투자
솔라나 기반 카미노·주피터·레이디움 선정
스카이(Sky·구 메이커다오)가 신규 독립 조직 ‘킬(Keel)’을 출범했다고 30일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킬은 솔라나 생태계의 탈중앙화금융(DeFi)과 실물자산(RWA) 시장을 키우기 위해 최대 25억달러(약 3조5000억원)를 투입할 계획이다.
스카이는 스테이블코인 USDS와 DAI를 발행하며, 두 코인의 공급량은 70억달러(약 9조8000억원)가 넘는다. 킬은 이 가운데 USDS 준비금에서 별도 자금을 배정받아 솔라나 기반 프로젝트에 투자한다. 초기에는 대출 서비스 카미노(Kamino), 거래 라우팅 플랫폼 주피터(Jupiter), 유동성 풀 운영사 레이디움(Raydium)에 자금을 공급한다.
킬은 솔라나 디파이 시장과 스테이블코인 경제를 잇는 자본 배분 조직으로서, 빠르고 대규모로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는다. 시안 브레스낙 마타리키랩스 최고경영자는 “온체인 금융의 성장을 위해서는 새로운 자산뿐 아니라 즉시 활용 가능한 유동성이 필요하다”며 킬의 의미를 강조했다.
릴리 리우 솔라나재단 회장은 “킬은 솔라나를 인터넷 규모 자본시장의 중심지로 만드는 핵심 단계”라고 평가했다. 스카이 공동창업자 룬 크리스텐센도 킬이 “솔라나에서 가장 큰 자본 배분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카이는 앞서 이더리움에서 100억달러(약 14조원) 이상 자산을 모은 스파크(Spark)와 대출채권담보부증권(CLO)에 집중하는 그로브(Grove)를 출범시킨 바 있으며, 킬은 세 번째 독립 조직이다.